입장권전산망 "컨소시엄방식으로 추진"

 지난 2년여를 끌어온 「입장권 통합전산망」사업이 운영 시스템은 특정업체의 시스템을 지정하되 운영은 「업계 컨소시엄」이 담당하는 방식으로 결정됐다.

 문화부는 8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입장권 통합전산망」사업을 국·공영 문화기관 중심의 「현장매표소 통합전산망」으로 규모를 축소하고 그 운영시스템으로 지구촌문화정보서비스(대표 우성화)의 「티켓링크시스템」을 최종 지정했으며 이의 운영은 민간업체간 컨소시엄을 구성해 담당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화부 김순규 기획실장은 『당초 입장권 통합전산망은 전국의 예매망을 통합하려는 계획이었으나 기존 민간업체들의 공연·영화·경기 관련 입장권 「예매」 영업활동을 보장하기 위해 각 공연장의 현장매표 전산망을 일원화하는 것으로 국한하고 예매망에는 관여하지 않기로 했다』고 설명하고 『운영주체의 컨소시엄화를 권장함으로써 특정업체의 독점을 방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중에 10여개 입장권 예·발매 전문업체가 난립하고 기본적인 기술성능을 갖추지 못한 시스템이 많아 단일 시스템으로 일원화 및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고 단일 시스템 지정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운영주체와 관련해서는 『참여업체를 중심으로 관련업체간의 컨소시엄을 구성하도록 하되 컨소시엄이 원만하게 구성되지 않을 경우 공익기관이 참여하는 「제3섹터 운영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화부측은 또한 「현장매표소 통합전산망」은 향후 3년간 국·공영 문화기관을 중심으로 시범적으로 설치운영하고 기타 민간공연장 및 경기장에는 권장 차원에서 보급할 방침이며 『「현장매표소 통합전산망」과 관련한 정부 예산지원 계획은 없다』고 밝혀 이 사업이 민간 참여기업들의 부담으로 이뤄질 것임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이 소식을 전해들은 민간업체들은 △정부 개입의 부당성 △기술성능 요건 및 기준의 불합리성 △시장환경에 대한 검토 및 배려의 결여 등을 다시금 거론하는 등 문화부의 결정에 반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은용기자 ey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