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표 국토연구원 GIS연구단장
우리는 지금 21세기 정보사회로 향하고 있다. 산업사회에서 정보사회로 바뀌면서 국토정보분야의 환경과 여건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산업사회에서는 도로·항만 등 물리적인 기반시설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었지만 정보사회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GIS)과 같은 컴퓨터 응용시스템이 생활의 질을 높여주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GIS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 대처하면서 국가 정보화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좀더 진취적이고 중장기적인 국가GIS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우선 국가GIS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근거법령이 필요하다. 아울러 GIS추진체계도 정비하여 국가GIS추진위원회의 현행 5개 분과 외에 정보응용분과와 지방자치단체분과를 신설하면 국가GIS사업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종류의 공간자료들을 자유로이 중첩시키거나 추가시킬 수 있는 틀로서의 국가 프레임워크 데이터(Framework Data)를 작성하여 국토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GIS활용시스템 개발을 촉진하여 대국민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국가GIS사업은 궁극적으로 GIS관련 기술을 활용하여 행정업무의 생산성을 제고하고 대국민 서비스의 수준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공간정보유통망을 구축하여 누구나 쉽게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야 한다. 국가GIS사업으로 구축된 공간정보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때 비로소 그 효과가 극대화되고 GIS활용의 보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GIS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GIS선진국으로 발돋움해야 한다고 본다. 그동안의 기술개발 연구비 지원방식을 지양하고 정부가 GIS기술개발지원 5개년 계획을 미리 발표한 후 매년 우수 GIS기술개발 보고서와 우수 GIS소프트웨어 제품을 공모하여 일정한 수준 이상의 기술력을 갖춘 결과물에 대해서 정부가 제품을 대량 구입함으로써 GIS기술개발을 지원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범지구정보를 구축하여 GIS분야의 세계화를 달성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내의 공간정보 자체도 보급이 미약한 실정이므로 다른 국가나 세계의 특정지역에 대한 정보수요는 아직 적은 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서구 선진국과 마찬가지로 지형정보·환경정보·자원정보·기후정보 등 국제화시대에 걸맞은 세계지리정보를 구축해 나가야 하고 지금부터 이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부족한 GIS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중·고등학교는 물론 초등학교의 교과과정에도 GIS교육을 포함시켜 GIS에 대한 국민적 이해의 폭을 넓히고 GIS의 저변을 확대해 나가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국가GIS사업은 1백40년 전 대동여지도가 만들어진 이후 지리사에 하나의 큰 획을 긋는 역사적 의미를 갖는 사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지금 우리는 지리와 정보화기술을 접합하여 새로운 지리정보 역사를 가꾸어 나가고 있다. 정보사회의 인프라인 GIS구축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다. 그러므로 길게 보면서 우직지계(迂直之計)를 갖춘 발전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