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연도표기 변경식 Y2k 편법 해결은 "위험"

 최근 일부 비 정보통신산업체 및 공공시설 분야에서 행하고 있는 시스템의 연도를 바꾸는 편법 Y2k문제 해결이 향후 시스템 운영시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2일 자동제어관련 산업계 전문가들에 따르면 최근 서울시정수장·인천항만청 등이 시스템 내부 연도를 83년, 또는 84년으로 바꿔 Y2k문제를 해결한 것은 향후 정상적 Y2k 해결 시스템간 연동 오류 발생, 타시스템과 연계 운영시 혼란, 정상적인 방식의 업그레이드 불능 등 잠재적 문제점을 내포한 위험한 해법이라는 것이다.

 모 시스템통합(SI)사업체의 한 관계자는 『Y2k해법을 통해 2000년이 되어도 정상적으로 설비가동이 되도록 해야 함은 물론 시스템 자체적으로도 2000년이라는 시간을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산업전자분야의 한 관계자는 『최근 서울시 영등포 정수장에서 자동화설비의 연도를 16년전인 84년으로 돌려 연도인식오류를 피하고 있지만 향후 정상적으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때 연도와 관계된 구성품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또 『연도변경을 통한 Y2k해법을 적용중인 인천항만청 역시 과거시점에 맞춰진 데이터를 통해 지속적이고 정상적인 시스템 통제·기록·수집·보관 등을 수행할 수 있을 지 미지수』라고 주장했다.

 이밖에 전문가들은 Y2k해법과 관련, 『특정 과거 연도로 시스템을 돌려 시험할 때 부작용이 없었다고 해서 잠재된 연도관련 모든 기능의 부작용을 해결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각 사회간접자본(SOC)시설에 대해 이처럼 검증되지 않은 편법으로 Y2k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 자칫 사회전체의 경제기능을 마비시키는 부작용을 낳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일반적인 Y2k해법으로는 전면적인 시스템 교체 외에 △두자리 연도 표기를 네자리로 바꾸는 데이터 확장(Extention) △프로그램에다 연도인식 프로그램을 삽입하는 데이터 해석(Interpretation) △날짜표기 알고리듬에 함수를 적용해 연도를 인식하게 해주는 데이터 조작(Manipulation) 등 3가지 방식이 알려지고 있다.

<이재구기자 jk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