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했던 대우전자 "빅딜드라마", "백지화"로 막 내릴듯

 삼성의 대우전자 인수가 무산될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삼성의 대우전자 인수 무산론은 삼성과 대우가 우여곡절 끝에 자동차 빅딜협상을 타결한 시점부터 줄곧 제기돼 왔다.

 삼성과 대우는 당시 자동차 빅딜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으나 지난 3월 자동차 빅딜 타결 때까지도 빅딜의 다른 한축인 대우전자 처리문제는 한마디도 거론하지 않아 성사가 불투명한 상태였다.

 또한 자동차 빅딜협상 타결 이후에도 빅딜 반대를 외치는 대우전자 직원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외자유치설이 제기된 반면 양그룹에서는 이에 대한 언급을 여전히 회피, 양측 모두가 대우전자 인수를 성사시킬 의지가 없는 게 아니냐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것이 사실이다.

 더욱이 4월들어 대우전자 인수주체인 삼성전자가 인수단으로 구성한 A프로젝트팀의 활동마저 사실상 중단시키고 양그룹이 자동차 빅딜을 타결하면서 대우전자 인수 배제를 조건으로 내세웠다는 소문이 나돌기 시작했다.

 특히 양그룹의 이해되지 않는 침묵속에 대우전자가 독자경영을 외치면서 대대적인 인사 및 조직개편을 단행, 대우전자 인수 무산론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최근들어 특히 삼성의 대우전자 인수가 백지화될 것이라는 전망은 정부가 자동차나 반도체에서 보여준 것처럼 대우전자 빅딜에 대해 단호한 입장을 보이지 않고 있는 데다 인수주체인 삼성이 대우전자 인수에 따른 실익보다는 국내외 주주들의 반발이나 재무구조 악화 등을 우려, 극히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데서 나온 것이다.

 따라서 현상황에서 대우전자는 삼성그룹에 인수될 가능성보다는 제3자에 인수되든가 아니면 외자를 유치해 독자경영기반을 구축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애드벌룬론이다.

 삼성이나 대우는 물론 정부까지도 공식적으로는 삼성의 대우전자 인수 배제를 거론한 적이 없지만 비공식적으로는 빅딜이 무산될 수 있다고 시사하는 발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이나 대우, 그리고 정부 역시 대우전자 빅딜은 애초부터 필연성이 없었지만 자동차 빅딜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만큼 이제와서 이를 백지화하는 데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삼성은 대우전자 인수가 오히려 삼성전자의 경쟁력 저하를 초래할지도 모른다고 우려하면서도 인수를 거부할 경우 빅딜정책을 거부한다는 인상을 줄까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대우측도 내심 대우전자를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매각하든가 외자유치를 성사시키기를 바라는 인상이 짙다.

 정부도 최대 현안이던 자동차빅딜이 성사됐고 대우전자 빅딜의 불필요성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만큼 대우전자 직원들의 반발이 드센 상황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는 대우전자 빅딜에 대해 딜레마에 빠져있는 분위기다.

 따라서 정부나 삼성·대우 모두 내심 빅딜 무산을 은연중 희망하지만 어느 누구도 앞장 서지 못한 채 비공식적 빅딜무산론을 흘리면서 여론을 떠보고 있지 않나하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같은 애드벌룬론이 사실이라면 대우전자가 삼성으로 넘어가기보다는 외자유치로 독자경영을 추구하든가 아니면 제3자에 매각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최근 독자경영을 소리높여 외치고 있는 대우전자 경영진의 행보는 이같은 현실인식에 따른 대응책의 일환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유성호기자 sunghy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