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전자 빅딜 사실상 무산"

 지난 5월 갑자기 불거졌던 대우전자 빅딜무산론이 기정사실로 굳어지고 있다.

 그동안 빅딜에 대해 의견표명을 자제해왔던 삼성전자와 대우전자 등 빅딜당사자들이 최근 빅딜무산론을 기정사실화하고 이에 따른 후속조치를 마련하는 데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내부에서도 최근들어 대우전자 빅딜이 사실상 물건너 갔다는 분위기가 팽배해있으며 전자빅딜이 전제가 되고 있는 자동차빅딜이 여러가지 상황에 의해 지연되고 있지만 자동차빅딜이 완료된 이후 대우전자 빅딜에 대한 구체적인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의견이 공감을 얻어가고 있다.

 삼성전자의 한 관계자는 『올 초부터 대우전자 인수팀을 가동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거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며 『대우전자 인수팀에서 일해 온 사람들에 대한 조치가 마련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혀 삼성전자 내부적으로 대우전자 빅딜이 무산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같은 분위기는 인수대상업체인 대우전자도 마찬가지다. 대우전자 내부에서도 현재와 같은 분위기에서 빅딜을 강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 아래 경영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우전자의 한 관계자는 『현재 모든 경영 및 생산활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독자경영의 전제로 인식되고 있는 외자유치 문제도 조만간 해결되지 않겠느냐』고 밝히고 있다.

 또한 그동안 빅딜반대를 주장해 온 비상대책위도 생존권 및 고용보장 등 빅딜무산에 따른 대비책 마련에 힘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차피 빅딜이 무산되더라도 독자경영을 위해서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선행돼야 하는 만큼 이에 따른 직원들의 신분도 보장해야 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라는 게 비대위측의 견해다.

 이처럼 빅딜무산론이 당사자들인 삼성전자와 대우전자 내부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것에 대해 업계관계자들은 『삼성자동차 처리에 따른 삼성그룹의 출혈이 예상외로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다 대우전자의 부실로 삼성전자가 대우전자를 인수하더라도 시너지효과를 거두기보다는 삼성전자 자체의 부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여기에 지난 5월 급격히 확산됐던 대우전자 빅딜무산론에 대해 열쇠를 쥐고 있는 정부측이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지 않고 있는 것도 빅딜무산론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결국 지난 6개월여 동안 국내 전자산업의 태풍의 눈으로 등장했던 대우전자 빅딜이 이제는 하나의 해프닝으로 끝날 공산이 커지고 있는 셈이다.

<양승욱기자 swy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