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보수업체 난립.덤핑에 "부실" 우려.. 승강기 타기가 겁난다

 지난 97년부터 급증한 엘리베이터 유지보수업체의 과열경쟁이 부실서비스는 물론 엘리베이터 사용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나 지난해 승강기표준보수료 기준을 제정한 산업자원부는 보수료를 업계자율에 맡긴다는 입장을 고수, 업체난립·부실보수 우려에 따른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8일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말 현재 전국의 승강기유지보수 업체는 총 524개사로 98년초보다 무려 37.5%나 급증했다. 대당 유지보수가격도 지난해 6월 12만원에서 최근에는 월 3만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승강기안전관리원과 산자부는 지난 4월말 기준 전국의 승강기 운행대수를 16만여대로 집계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적절한 유지보수업체 수를 100개 업체 정도로 보고 있다.

 이같은 승강기 보수업체의 서비스료 덤핑경쟁은 승강기 유지보수업체의 기술자 인건비 확보는 물론 운영비조차 건지기 힘들게 하면서 승강기 사용자의 안전확보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유지보수 관련업계는 『IMF 이후 보수업체 수 폭증으로 인해 덤핑수주가 불가피한 입장에서 관리주체들 또한 저가 보수료만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부작용을 막기 위한 최소한의 조치로 지난해 기술표준원(구 국립기술품질원) 주도로 제정된 표준유지보수료를 시급히 고시해 적정 서비스가격 산정을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산업자원부는 지난 97년 「승강기 제조 및 관리에 관한 법」에 기반해 「표준보수료 공시 등에 관한 요령」을 고시하면서 향후 표준보수료에 대한 기준으로 활용토록 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이에 따른 구체적인 표준보수료산정(안)이 제정됐음에도 불구하고 기술표준원이 이의 공표를 유보하고 있다.

 『표준보수료산정(안)은 보수료 외에 유지·보수범위, 부품가격·공급 조건, 노임단가 등 관리주체와 보수업체간 계약내용을 구체적으로 명기하고 있어 덤핑보수 및 부실보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란 게 제조업체와 승강기 전문가들의 평가다.

 한편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발생한 28건의 사고 가운데 68%가 유지·관리 부실로 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승강기 유지·보수료 난맥상과 관련, 기술표준원 측은 『계획표준보수료를 고시한다 해도 큰 실효성을 거두기 힘들 것』이라며 구체적인 태도 표명을 유보하고 있다.

 한국승강기공업협동조합 이재군 이사장은 『이용자들의 안전과 직결된 만큼 표준보수료의 공표를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며 『고시 후 이견이 있다면 보수업체·소비자단체 등 유관단체가 참가한 공청회 등을 통해 해소하면 된다』고 말했다.

<허의원기자 ewhe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