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 위성방송시장은 통신위성(CS)을 활용한 위성방송사업자들이 등장해 다채널시장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다. 지난 94부터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를 시작한 미국은 워낙 국제전기통신연합(ITU)으로부터 할당받은 방송위성(BS)용 주파수가 많아 BS방식의 디지털 위성방송사업자들이 대세를 이루고 있으나 다른 국가들의 경우는 CS 위성방송이 점차 세력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웃 일본은 NHK·와우와우 등 BS 위성방송사업자들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유료 다채널 위성방송 서비스시장은 CS 디지털 위성방송사업자인 「스카이 퍼펙TV」와 「디렉TV」가 주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역시 향후 등장하는 위성방송사업자들이 무궁화위성의 BS중계기와 CS중계기를 활용해 위성방송사업을 전개할 것으로 예측된다.
위성방송의 큰 흐름 중 하나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대화형TV 및 데이터방송의 도입·확산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미 프랑스의 위성방송사업자인 「카날 플러스」가 「미디어 하이웨이」라는 엔진을 탑재해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프랑스의 「TPS」, 영국의 「B스카이B」 등 위성방송사업자도 대화형 솔루션인 「오픈TV」를 이용해 대화형 또는 데이터방송을 실시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다.
일본의 「스카이 퍼펙TV」는 올해 5월부터 가입자들이 음악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채널을 운용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히타치는 자동차 등 움직이는 물체에서 방송·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각 국의 위성방송사업자들이 제공하고 있는 대화형TV의 서비스 종류는 방송사업자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프로그램 가이드 채널(EPG)·홈쇼핑·드라마 줄거리 소개·탤런트 정보·음악파일 제공기능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앞으로는 위성인터넷·홈뱅킹·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기능을 비롯, 현재 PC에서 제공하는 모든 솔루션으로 서비스 영역이 확대될 게 분명하다.
이같은 세계적인 추세를 감안할 때 향후 등장하는 국내 위성방송사업자 역시 다채널 서비스와 대화형 TV방송을 기본적인 채널 전략으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아직 본격적인 위성방송 서비스를 시작하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는 몇년 전 유럽의 디지털 위성방송방식인 「DVB」방식을 국내 표준으로 결정해 위성방송을 시험 송출하고 있다. 무궁화1호 위성 발사 당시 위성방송을 디지털방식으로 하는 게 바람직한가, 아니면 아날로그방식으로 하는 게 바람직한가를 놓고 격렬한 논쟁이 오가기도 했으나 결국 디지털방식으로 최종 결론이 났다.
현재 KBS·EBS·방송대학 채널(OUN) 등이 무궁화위성의 방송용 중계기를 활용해 디지털방송을 시험 송출하고 있다. 아직 위성방송사업자를 허가해줄 수 있는 근거법인 통합방송법이 국회를 통과하지 않아 「실용화 시험국」 형태로 디지털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통합방송법의 국회 통과가 기정 사실화되면 국내에도 합법적인 위성방송사업자가 등장, 다채널 시대를 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KBS가 2002년 월드컵 기간 동안 위성 HDTV방송을 실시할 예정이어서 지상파와 함께 위성방송도 고선명 서비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새로 등장하는 위성방송사업자는 국내 대기업·언론사 및 외국자본을 포함한 그랜드 컨소시엄 형태로 구성될 예정인데 현재 데이콤의 자화사인 DSM과 한국통신 등의 사업자들이 위성방송사업자 허가권을 획득하기 위해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와 함께 아리랑TV는 올 8월부터 디지털 해외 위성방송 서비스를 실시한다는 방침 아래 현재 중국 위성체인 「아시아샛3호」의 C밴드 중계기를 활용해 위성방송을 시험 송출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위성방송사업이 본궤도에 진입하기 위해선 선결해야 할 과제들이 적지 않다. 우선 방송법이 통과되는 게 시급하지만 현재 위성방송을 시험 송출하고 있는 KBS·EBS·OUN 등 기존의 위성방송사업자를 단순히 위성PP로 허가할 것인가, 아니면 위성방송사업자로 허가할 것인가 하는 점이 핫이슈로 부상할 것이다.
또 위성방송기술 기준 개정시 기존에 보급된 위성방송 수신기 사용자들에 대한 보호책 강구도 중요한 현안이다.
<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