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마당> 鍍金규격 제정 급하디

배명직 기양금속 사장

 도금은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분야다. 도금은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기능을 좌우할 뿐더러 수명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우리 실정은 도금업을 공해업종의 대명사로 인식, 천하고 보잘 것 없는 「물장사」쯤으로 취급하고 있다. 도금 분야는 이제 거의 모두가 기피하는 3D업종이 돼버렸다. 세트업체들이 지금도 도금공장을 도금집이라고 부르는 것에서 그 현실이 잘 나타나 있다.

 그렇지만 도금 표면처리는 모든 산업에서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다. 전자제품을 비롯해 자동차·선박·기차 등 거의 모든 제품에는 도금 표면처리 공정이 들어 있다.

 특히 전자통신산업에서 도금은 제품의 기능과 미려한 컬러, 내구성 등에서 마무리 품질을 좌우하는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한다.

 도금 표면처리가 잘되어야 모든 기능에 완벽을 기할 수 있다. 그것이 잘되어 있지 않으면 10년 쓸 수 있는 제품을 1년도 못쓰고 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렇다면 이렇게 중요한 도금을 세트업체에서는 어떻게 관리하고 있을까.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도금규격조차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거의 대부분의 세트업체들은 도금규격이라는 게 아예 없는 실정이다. 그저 아연도금(천연색·백색)·니켈도금·금도금·은도금·동도금 등이 도금규격의 전부다. 예를 들어 아연도금이면 두께는 몇 마이크로미터로 하고 내식성은 몇 시간 정도는 돼야 한다는 등의 구체적인 규격이 정해져 도금공장에까지 내려와야 한다.

 이런 기초적인 규격도 없이 도금공장에서 무슨 규격에 맞는 도금을 할 수 있을까. 그렇다 보니 그저 적당히 싼 가격으로 도금을 해주면 그만인 것이 현실이다. 수많은 대기업 연구원들과 대화를 하다 보면 다른 것은 다 자신이 있는데 표면처리 도금 때문에 큰일이라고 서슴없이 말하는 걸 볼 수 있다.

 세트업체가 새로운 제품을 설계할 때 도금 관련 규격을 제정하고 전문분야 종사자들과 상의한 후 설계한다면 불필요한 규격으로 인한 원가 상승이나 도금공장과의 마찰을 줄일 수 있을 것이고, 기능과 규격에 맞는 양질의 도금을 얻을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우리나라 도금산업을 낙후시키고 도금공장이 아닌 도금집으로 전락시킨 사람이 과연 누구일까. 바로 세트업체 또는 연구원들이 큰 몫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세트업체의 구매팀장만 바뀌어도 불안한 것이 도금공장 사장이다. 언제 가격을 내릴지, 거래중단 통보를 받을지 불안한 것이 도금공장의 현실이다.

 세트업체에서 도금규격을 제정, 1·2차 및 최종 도금공정까지 관리하고 지도했더라면 우리나라 도금공업도 많은 발전을 했을 것이고, 도금 때문에 클레임이 걸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

 우리나라 도금공업 기술 수준도 현재 일부 기업의 경우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을 정도로 발전해 있다. 이제 제품의 특징에 맞는 기능도금(초내식성·초전도성·초내마모성)을 세트업체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지도할 때 선진국에 버금가는 도금산업의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빨리빨리 하면 된다는 세트업체의 구태의연한 인식도 바뀌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