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사업자, "지분 조율" 두통거리

 위성방송 사업자 구성 방식이 방송계의 핫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향후 위성방송 사업자의 지분 구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국내 방송계의 정치적 풍향이 크게 달라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통합 방송위원회가 출범하면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일도 바로 위성방송 사업자를 선정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그동안 통합 방송법의 제정이 계속 늦어지는 바람에 위성방송 사업자 구성방식에 관한 논의는 답보 상태를 면치 못했다. 그나마 합의된 것이 있다면 그랜드 컨소시엄 형태의 사업자를 출범시키는 게 바람직스럽지 않느냐는 의견 정도다.

 국내 유료 채널 시장의 성숙도를 감안할 때 복수의 위성방송 사업자가 등장해 경쟁하기보다는 그랜드 컨소시엄 형태의 방송 사업자가 등장, 다채널 다매체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여전히 지배적인 여론이다. 이같은 사정을 감안해 정보통신부도 그동안 한국통신과 DSM이 하나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위성방송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강력하게 요청해 왔다.

 그러나 양측간에 의견 차이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는데다 아직 본격적으로 사업자 선정 작업에 착수하지 않고 있어 그랜드 컨소시엄 구성방안은 현단계에선 말만 무성한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위성방송 사업을 추진중인 업체는 크게 한국통신·KBS 컨소시엄과 데이콤의 위성방송 추진업체인 DSM 컨소시엄으로 나눌 수 있다.

 당초 DSM이 미디어 재벌인 머독과 제휴, 위성방송 사업을 추진키로 하면서 방송계의 지대한 관심을 끌었으나 방송법 제정이 늦어지면서 그동안 다소 소강상태였다.

 그렇지만 DSM측은 방송법의 국회 통과 전망으로 상황이 크게 호전될 기미를 보이자 그동안 다소 위축됐던 사내 분위기를 쇄신, 위성방송 사업의 동력을 다시 끌어올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반면 한국통신측은 DSM보다 위성방송 사업에 대한 논의를 나중에 시작했지만 KBS와 전략적으로 제휴하면서 상승 분위기를 타고 있다. 이처럼 양 사업자들이 격돌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누가 그랜드 컨소시엄을 주도할 것인가가 방송계의 최대 이슈다. 여기다 새롭게 주목할 만한 점은 그동안 IMF 사태와 방송법 제정의 지연으로 방송 및 영상산업에서 퇴출했던 상당수 기업들이 다시 영상 및 방송 사업에 진출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통신과 DSM측에 따르면 아직 가시화된 것은 없지만 그동안 위성방송 사업에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던 상당수 기업들이 최근 위성방송 사업에 직·간접적으로 관심을 표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방송계의 최대 관심사는 과연 위성방송 사업자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의 문제로 모아지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한국통신과 KBS의 위성방송 사업 참여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점과 LG그룹이 경영권을 장악하고 있는 DSM의 위성방송 참여를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로 좁혀지고 있다.

 과연 이들 사업자들의 희망 사항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장치는 없는 것일까. 앞으로 이 문제를 놓고 방송계는 한바탕 설전을 벌여야할 판이다.

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