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반도체장비업체 정보통신·인터넷 진출 현황과 배경

지난해부터 반도체장비 업계에서 불기 시작한 정보통신·인터넷분야로의 사업확장 바람이 올해 들어 더욱 거세지고 있다. 반도체장비 업체들은 최근 앞다퉈 자회사 설립·지분투자·인큐베이팅 등의 형태로 정보통신·인터넷분야로 사업영역을 새로 넓혀가고 있다.

◇배경

반도체장비 업체들이 정보통신·인터넷분야로 사업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반도체 경기호조에 따른 설비투자가 늘어나면서 자금력에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동안 불황의 터널을 뚫고 지난해 하반기부터 회복되기 시작한 반도체장비 시장이 향후 2∼3년간 호황을 띨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전망이 밝은 정보통신분야로 사업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업체들은 이른바 「올림픽 사이클」로 불리는 반도체경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반도체장비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측면도 크다.

◇현황

미래산업·케이씨텍·주성엔지니어링·디아이·다산씨앤드아이·실리콘테크·연우엔지니어링 등의 반도체 전·후공정장비 제조업체들이 정보통신·인터넷분야로의 진출에 적극적이다.

미래산업(대표 정문술 http://www.mirae.co.kr)은 지난해 인터넷 포털서비스업체인 라이코스코리아의 지분 50%를 투자하고 소프트포럼을 설립한 것을 계기로 반도체장비 업체 중 가장 먼저 인터넷사업에 뛰어들었다. 올해 들어 이 회사는 인터넷부문을 21세기 전략사업으로 정하고 올해에만 1000억원을 투입해 「미래인터넷기업백화점」을 설립하는 한편, 이미 투자한 센맨토링·나라비전·인피니티텔레콤 외에 20여개 이상의 업체에 지분인수 형식으로 참여하고 24개사의 인큐베이팅을 지원할 예정이다.

케이씨텍(대표 고석태 http://www.kctech.co.kr)은 지난해 12월 세트톱박스 및 무선통신용 소프트웨어·기기 제조업체인 디오텔을 설립해 정보통신사업에 뛰어들었으며, 지난 1월말 인터넷 웹TV업체인 한국웹TV의 1대 주주(총 지분율 37%)가 됐다. 한국IT벤처투자에도 출자한 케이씨텍은 올해 30억원을 추가 투자해 2개 정도의 정보통신 관련업체를 인수한다는 계획이다.

주성엔지니어링(대표 황철주 http://www.jseng.co.kr)은 지난해 인터넷 포털서비스업체인 「컴퓨터와춤을」에 투자한 데 이어, 이달 초 무선 인터넷서비스 관련 벤처기업인 이지엠닷컴(easyM.com·대표 전경일)의 3차 유상증자분을 전액 인수하는 형식으로 70억원을 투자, 지분 25.01%를 확보함으로써 이지엠닷컴의 최대주주가 됐다. 이 회사는 이번 투자로 무선인터넷사업부문 진입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게 됐다.

디아이(대표 박원호 http://www.di.co.kr)는 정보통신 자회사인 디아이텔레콤을 비롯해 지난해 10월 미국 밀리터론, LG창업투자와 공동으로 밀리터론코리아를 설립, 무선통신장비사업에 뛰어들었다. 또한 우리기술투자·한솔창투·강남종합유선방송·아스텍 등에도 지분투자해 놓고 있다.

다산씨앤드아이(대표 오희범 http://www.dasancni.com)는 올해 1월 바코시스템과 「자동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시스템(Automatic Digital DataBase System)」에 관한 특허출원기술의 소유권과 전용 실시권을 이전받는 계약을 맺고 디지털 데이터베이스 사업에 진출했다.

실리콘테크(대표 우상엽 http://www.stl.co.kr)은 지난 98년 회사내에 정보통신부문을 설립, 인터넷을 통해 음성통화가 가능한 게이트웨이 장비 및 소프트웨어 사업에 나서고 있으며 정보기술 솔루션·컨설팅사업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이달 초 「윈윈(Win-Win)창업투자」를 설립, 신생 전자정보통신업체에 대한 인큐베이팅에도 본격 나섰다.

연우엔지니어링(대표 이건환)은 현대멀티캡·인성정보·한국IT벤처투자 및 미국의 인터넷 및 생명공학부문 벤처캐피털인 아담벤처와 레드리프의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레드리프사와 공동으로 국내 인터넷 벤처기업인 동진프런티어와 아라기술에 투자했다.

◇전망

결론부터 말해 반도체장비 업체들의 정보통신·인터넷으로의 진출은 올해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반도체장비 업체들은 올해는 물론 향후 몇년간 반도체경기가 호조를 띠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나오는 여유자금을 장비기술 개발 외에 신규 사업에 투자하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반도체장비를 개발·생산해오면서 축적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관련장비 및 소프트웨어 사업에 적극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분야로 사업을 확장한 업체들은 올해도 지분출자하는 방식으로 정보통신·인터넷사업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경쟁이 매우 치열한 정보통신·인터넷시장 사업특성을 감안해 볼 때 반도체장비 제조업체들의 사업다각화가 향후 의도만큼이나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