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상거래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지만 배송과 관련해서는 여전히 불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그리고 배송업체가 각각 다르다 보니 책임소재도 명확지 않아 소비자들의 불만이 가중되고 있는 것입니다.』
삼보서비스(http://www.tgsvc.co.kr) 이효열 상무는 얼마나 빨리 배송하고 설치하는가에 따라 고객이 제품을 대하는 첫 인상이 달라지고 향후 제품 구매율에 있어서도 큰 작용을 한다고 보고 최근 배송·설치 등 물류시스템을 하나의 전산망으로 통합했다.
이 상무는 『PC의 경우 배송에 이어 바로 설치작업이 진행돼야 하므로 배송과 설치과정을 하나의 전산망으로 묶어 관리하면 시간과 비용을 모두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삼보컴퓨터가 판매한 제품뿐 아니라 삼보컴퓨터 쇼핑몰, 나래이동통신 쇼핑몰 등 삼보계열사가 판매한 모든 제품의 설치 및 AS를 맡고 있는 삼보서비스는 이번 물류시스템 구축으로 한층 빠른 배송과 설치로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됐다. 배송의 경우 그동안에는 택배업체를 주로 이용했으나 물류시스템 구축과 함께 설치작업에 맞게 고안된 배송·설치 전담 탑차 10대를 도입, 직송체계를 갖춤으로써 납품기일을 정확하게 지킬 수 있게 됐다.
또 소비자는 웹을 기반으로 한 이 시스템 중 「트래킹서비스」를 이용, 주문한 제품이 언제 배달되고 설치될 것인지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배송·설치와 관련한 긍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
이 상무는 우선 이같은 시스템을 서울 지역에서부터 실시한 뒤 앞으로 대전·대구·광주·부산·수원·인천 등 전국을 7개 권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 물류센터 역할을 담당할 「제품창고(Warehouse)」를 설치키로 했다. 이에 따라 각 지역에 웨어하우스가 만들어지면 제조업체에서 출하된 제품은 모두 이곳으로 모여지고 전산망에 나타난 배달주문서에 따라 배송·설치 전담팀이 전용 탑차를 타고 나가 제품을 설치하게 된다.
이 상무는 『인터넷 쇼핑몰의 구매 취소율이 20% 정도로 매우 높은 것은 배송 지연에 따른 것도 적지 않다』며 『앞으로 배송 및 설치 작업이 일원화될 것으로 보여 고객에게 약속서비스와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하기자 yh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