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해킹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해킹 관련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연구센터가 오는 3월 문을 연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원장 최덕인)은 국가적 현안으로 떠오른 컴퓨터 해킹 방지 및 정보보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 내에 「정보보호 교육연구센터(Information Protection Center)」를 설치, 해킹을 예방할 수 있는 인력을 집중 육성키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과기원은 과학기술부·정보통신부·국방부 등 관련부처와 센터설립에 대한 협의를 마쳤으며 오는 3월 20일 대학 3호관에 센터를 개소하는대로 정보보호 인력 양성 및 연구를 위해 매년 3억원의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센터 운영예산은 올해 워크스테이션과 PC 구입 등 초기 시설비로 3억원을 투자한 뒤 매년 과기원 자체 예산에서 1억원을 시설 및 장비비로 지원하고 나머지 연구개발기금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공공기관·기업체 등으로부터 매년 1억∼2억원씩 지원받을 계획이다.
이같은 계획에 따라 과기원은 우선 올 봄학기부터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산학 전공에 정보보호 특강을 개설, 전산학과 전자공학 등 관련 전공교수 10명이 공동강의를 실시하기로 했다.
학생들에게 실시될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으로 통신보안과 데이터베이스 보안, 암호화, 바이러스 방지, 무선통신보안, 자료복구 등이 준비되고 있다.
과기원은 이번 한 학기 동안 공동강의를 통해 정보보호와 관련한 교육 및 연구의 틀이 잡혀지면 참여 교수를 확대함으로써 이 교육과정을 정규 학제전공으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이다.
학제전공이란 특정한 소속 학과 없이 여러 개의 관련학과 교수들로부터 전공과 관련한 수업을 듣는 것으로 「정보보호」 강의가 학제전공으로 정착되면 앞으로 몇년 후에는 해킹과 관련한 학사학위를 받는 학생이 한 해 수백명씩 탄생할 전망이며 앞으로 확대되는 전자상거래·E비즈니스 등 인터넷시대에 국가의 정보보호기반을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최덕인 원장은 『초기에는 정보보호분야 연구와 교육을 병행하는 형태로 운영한 뒤 점차 학제전공으로 발전시켜 체계적인 인력양성을 도모할 계획』이라며 『해킹을 막고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며 뛰어난 인력을 양성, 공급함으로써 국가안보를 유지하는 데에 센터설립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고 말했다.
<정창훈기자 chj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