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들이 최근 2∼3년간 정보기술(IT)부문에 많은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은행의 전산화 수준은 아직까지 기존의 대금결제나 대출업무 등을 단순히 인터넷으로 처리하는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IT부문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발표한 「일반은행 IT관련 투자현황 분석」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IT부문 투자에 있어 국내 은행권은 업무원가 및 수익성 분석을 위한 이익관리시스템 구축부문 예산을 가장 크게 늘리고 있으며 PC·인터넷 뱅킹 등 전자금융거래 관련시스템 구축예산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IMF체제 이후 여신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여신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가 급증, 97년 1억원에 불과하던 투자예산이 지난해에는 87억원 수준으로 늘어났으며 의사결정·목표관리 등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DB관리시스템과 경영전략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IT투자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하지만 보안성 등 각종 소비자 보호장치와 인터넷 해킹에 대비한 프로그램의 구비가 미흡하고 고객요구에 맞게 모든 상품을 조합, 처리해주는 원스톱 서비스도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등 국내 은행권의 전산화 수준은 아직도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또 최근 국내 은행권의 이러한 막대한 IT투자가 생산성 증대로 직접 연결되지 않아 은행들의 실질적인 수익성 향상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감독원은 이같은 점을 고려해 국내 금융권이 올해 IT분야에 투자할 예산규모로 지난해 1845억원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난 6483억원을 책정하고 있으며, 투자 내용면에서도 그동안 사무자동화 등 하드웨어에 대한 투자보다 리스크관리, 여신관리 및 고객서비스와 같은 소프트웨어부문의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