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상대적으로 소외돼온 부품·소재 분야의 중소·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최근 출범시킨 「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가 초기부터 운영상의 문제점을 드러내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25일 벤처캐피털업계에 따르면 산자부는 벤처산업 저변확대 및 업종별 균형발전이라는 모토 아래 유망 부품·소재기업에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지난달 말 한국벤처캐피탈협회 산하에 38개기관으로 구성된 부품소재투자기관협의회(회장 조병식 한솔창투 상무)를 설치, 지난 23일 4개 기업을 대상으로 1차 사업설명회를 가졌다.
그러나 이날 투자유치 대상업체로 참여한 업체 중 코스닥 등록 막바지 절차를 밟아왔던 업체가 포함된데다 일부 업력이 20년 전후인 중견업체들이 대상기업으로 선정, 업체선정 과정부터 무리가 따르는 등 정부가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 업무추진을 너무 서두른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투자기관 관계자들은 『아직 운용 초기이고 시간이 촉박해서 그런 것으로 이해하지만 첫 단추를 꿰는 것이 중요하듯이 투자대상기업의 선정을 더욱 신중히 해 실제 투자가 필요한 유망 부품·소재 벤처기업을 발굴, 투자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첫 설명회치고 준비가 소홀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협의회 참가기관에 투자기회를 주는 것만으로 2000만원의 연회비를 받는 것도 너무 비싸고 참여업체의 제한이 전혀 없어 진입제한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협의회에는 창투사·신기술금융사·금융기관·일반법인 등 벤처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업체면 2000만원만 내면 누구든 원천적으로 입회를 막을 수 없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털은 물론 은행·투신·종금·파이낸스사 등 기타 금융기관이나 일반법인들이 대거 협의회에 참여할 경우 과열경쟁에 따라 회비만 내고 투자를 못하는 기관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벤처캐피털과 달리 기관투자가들의 경우 조기 투자회수를 선호, 건전한 투자분위기 조성을 저해할 것으로 우려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8개 정부산하 및 출연연구소로 구성된 「부품·소재 통합연구단」의 권한이 큰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대목. 즉, 투자여부는 투자기관 자율이지만 투자결정의 중요한 잣대인 기술성 평가 등을 총괄하는 통합연구단을 견제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것이다.
산자부 자본재총괄과 황규연 서기관은 『부품·소재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여 정말 돈을 버는 기업을 많이 만들자는 차원에서 이 프로젝트를 추진해왔다』며 『이번 1차설명회는 실험적인 성격이 강하며 앞으로 협의회 진입장벽 등 현재 드러난 문제점들은 하나씩 바로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산자부는 앞으로 부품·소재 분야의 벤처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관련 특별법 제정과 투자기관협의회를 법적기구로 격상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이중배기자 jb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