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 지표로 본 국내경기가 조정국면에 들어섰다.
그러나 경기가 이미 정점을 지나 수축기에 들어선 것은 아니며 재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6월 중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생산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7.9% 증가했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81.9%로 상승했다.
반도체 요인을 제거할 경우 생산은 9.6% 증가하고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9% 수준인 것으로 추정됐다.
반도체 부문과 파업, 조업일수 등 불규칙 요인을 모두 제외하면 생산은 4월 14%, 5월 13.2%, 6월 11.2%로 상승률이 낮아졌으나 과거 호경기 때의 8∼9%보다는 여전히 높은 편이다.
또 수출 출하는 27.8%의 증가율을 기록하고 소비를 나타내는 도소매판매는 11.1%, 설비투자는 26.1% 증가로 상승속도가 둔화됐지만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건설수주도 공공부문에서 발주가 증가한 데 따라 44.3%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4포인트 상승해 경기가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음을 뒷받침했다.
향후 경기를 나타내는 선행지수 전년동월비는 3.8%로 전달에 비해 1.8%포인트 낮아져 하락세가 10개월째 이어졌으나 5월부터 하락 폭이 조금씩 좁혀지고 있다.
박화수 통계청 경제통계국장은 『선행지수로 볼 때 앞으로 경기는 등락세를 보이며 조정기를 거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러나 연말 안에 정점이 올 것으로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박 국장은 『조정기가 오래 가면서 각종 지표가 인플레를 야기하지 않는 잠재성장률 수준에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