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10개 기업 가운데 3개사가 대북사업을 추진중이거나 적극 검토하고 있지만 투자관련 정보부족과 제도미비가 대북사업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2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가 회원사 137개 업체(대기업 74개사, 중소기업 63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남북경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계의견 조사」에 따르면 7월 현재 대기업의 37.5%와 중소기업의 23.7%가 대북사업을 진행중이거나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체는 대북사업 형태로 대부분 위탁가공(42.3%) 또는 직접투자(34.9%)를 꼽았으며 특히 중소기업은 위탁가공(57.4%)을, 대기업은 직접투자(47.8%)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희망지역으로는 평양·남포지역(45.0%)을 가장 선호했으며 해주·개성지역(25.8%)도 비교적 인기가 좋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이들 지역이 남한과 지리적으로 인접한 서해안 대도시 지역인데다 고급인력 확보가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북한이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는 나진·선봉지역과 신의주지역은 각각 17.5%, 3.3%에 불과해 투자지역에 대한 남북한간 의견조율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적정 투자규모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이 100만달러 미만(56.0%), 대기업이 300만∼500만달러(36.1%)를 염두에 두고 있는 등 대부분 소규모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기업은 특히 단독투자(13.5%)보다는 국내기업(55.6%) 또는 외국기업(30.8)과의 공동투자가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 있고, 흑자전환 예상시점은 응답자의 47.4%가 2∼5년으로 내다봤다.
현재 대북사업을 추진하고 있지 않은 기업들은 그 이유에 대해 26.8%가 「투자관련 정보의 부족」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투자보장협정 등 제도의 미비(20.5%)」 「정치적 불안(14.5%)」을 지적해 북한과의 협상을 통한 제도적 안전장치와 투자관련 정보제공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최근 대북진출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정보부족이 투자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북한에 대한 상세한 투자정보 제공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장관진기자 bbory5@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