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작고 효율적인 전자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기획예산처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전자정부 구현을 위해 내년에 민원행정서비스 개선과 민원행정정보의 전국 공동활용체계 구축 및 행정업무 능률 제고를 위한 사업 등에 총 3688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이를 통해 정부는 시·군·구, 읍·면·동 등 일선 민원행정기관의 지속적인 정보화 추진으로 국민의 관공서 방문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궁극적으로 안방에서 모든 민원을 처리할 수 있는 행정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PC통신 및 인터넷을 통한 일괄 민원처리와 무인통합민원 서비스 등이 가능하도록 민원행정정보의 공동활용체계도 구축된다.
또한 건설·조달·관세·재정·세무 등 각종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통해 업무효율성을 높이고 행정투명성을 제고함으로써 행정업무 처리과정에서의 부조리 소지도 완전 제거하기로 했다.
특히 행정기관 내부에서 생성되는 각종 지식정보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식관리시스템(KMS)의 도입을 적극 장려함으로써 전체 공직사회가 지식기반사회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는 주민·차량·건축·보건복지 등 10개 민원서류와 전국 읍·면·동사무소의 호적 등초본과 인감증명 등을 전국 온라인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건축행정 정보화사업도 내년에 완료돼 건축 인허가로부터 사용승인에 이르는 모든 건축행정 과정을 컴퓨터로 처리하고 이를 인터넷에 공개함으로써 전국 232개 시·군·구 건축행정 처리과정에서의 부조리 문제도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