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아웃소싱 산업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각종 활동이 정부 및 투자기관과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최근 정부와 아웃소싱 관련 연구기관 및 전문단체들은 국내 아웃소싱 산업의 선진화를 위한 각종 정책적 지원방안 마련과 함께 한국적 아웃소싱 방법론의 개발 및 보급에 적극 나서고 있다. 관련기사 5면
산업자원부는 내년부터 정보시스템부문 아웃소싱을 포함한 비즈니스 서비스산업을 고부가가치 전략산업의 하나로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수립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정부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정보처리·DB관리 등 컴퓨터 관련 아웃소싱을 최우선순위로 두고 법무·회계·경영컨설팅 등 전문서비스와 인적자원 모집·파견 및 운용서비스 부문을 1차 지원대상으로 선정하고 정책추진 상황과 분야별 발전수준을 고려해 지원대상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정부 및 민간의 아웃소싱 활용에 큰 걸림돌이 돼왔던 고용유동성과 관련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아웃소싱 수요업체와 공급업체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별도의 정보망 구축도 검토된다.
산자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추진중인 비즈니스 서비스산업에 대한 지원정책 수립은 기존 제조 중심의 산업지원 정책에서 탈피, 점차 고부가가치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는 서비스부문 산업에 대한 정부의 전략적 육성의지를 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산자부는 국내 비즈니스 서비스산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사업을 이달중 완료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정책방안을 수립해 기획예산처·정보통신부·노동부·중소기업청 등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내년부터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실제로 기획예산처는 그동안 단순업무 중심으로 이뤄진 외부위탁 대상업무를 전산시스템 운영 및 정보관리분야 등으로 확대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최근 한국도로공사와 주택 및 토지공사의 전산업무를 비롯해 한전기술의 CAD 업무 등 69개 업무를 추가로 발굴, 외부위탁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 방침에 맞춰 한국시스템통합연구조합(회장 김광호)은 공공부문 아웃소싱 활성화에 대비한 전략세미나를 다음달중 개최하고 아웃소싱 수요자와 공급자의 요구사항을 적극 수렴해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시장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다.
한국전산원(원장 박성득)도 지난해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 관한 방법론을 개발한 데 이어 올해는 아웃소싱 담당자가 방법론을 제시한 참조양식과 주요 기법 및 결과물을 실제 사업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세부실행 가이드」를 현재 개발중이다.
이와 함께 시스템통합(SI)·전사적자원관리(ERP)·애플리케이션서비스제공(ASP) 등 정보시스템분야를 비롯해 인사총무·마케팅·시설관리·물류·유통 등 기업의 아웃소싱분야 100여 전문업체가 참가하는 「서울아웃소싱박람회2000」 행사도 다음달 개최된다.
<주상돈기자 sd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