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시장 심완구 http://www.metro.ulsan.kr)는 올해 행정자치부가 평가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정보화 교육 실시 부문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올해 지방자치단체가 상반기 실시한 공무원에 대한 교육실적은 전체 시도별 공무원 25만822명 중 46.3%인 16만722만명인 데 비해 울산시는 전체 4337명의 공무원 중 80.4%인 348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평균의 두 배에 근접하는 것으로 수도권과 달리 공무원이 정보화를 주도해야 하는 지자체의 형편을 고려하면 그만큼 주민정보화를 앞당길 수 있는 가용인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고무적인 현상으로 풀이된다.
울산시는 특히 지난해보다 정보화 교육 부문을 확대해 문서작성·인터넷활용·엑셀97·윈도97·홈페이지작성·파워포인트·전자결재 등 컴퓨터 활용교육에 중점을 뒀다. 이를 통해 상반기에는 4급 이하 41명, 5급 이하 3427명, 전산직 공무원 18명 등 총 3486명의 교육을 완료했다.
교육방법은 과목당 10∼15시간을 편성했고 교육강사는 외래강사와 자체강사, 공공근로요원, 위탁강사 등을 활용했다. 특히 이론보다는 실무 위주로 실제 업무 적용이 가능한 실습 위주의 교육을 집중적으로 실시했다.
바쁜 업무로 시간을 할애할 수 없는 공무원을 위해서는 일과시간 전인 아침반(08:00∼09:00)과 일과시간 후인 야간반(18:30∼20:30)을 특별 편성해 별도 운영했다. 아침반은 정보화 능력 평가에 대비하기 위해 표계산·문서작성·인터넷정보검색 등 평가대상 과목을 집중적으로 교육했다. 야간반은 정보화 교육을 통해 자기계발을 촉진하기 위해 정보화분야 자격증 취득 교육과정을 개설, 기수당 20명씩 하루 2시간, 주 3일, 3개월간 워드프로세서 및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취득과정을 운영해 지난해에 비해 180% 이상 자격증 취득률을 올리기까지 했다.
울산시는 특히 시 홈페이지나 전자결재시스템에 「사이버정보화교육」란을 개설, 스스로 정보화 처리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사이버교육장을 운영했다. 또 정보화 마인드 향상을 위해 「21세기 디지털시대 능동적 대응」 「인터넷과 전자상거래」 「경쟁력 있는 전자정부 구현」 등의 주제를 갖고 유명인사의 강의나 VCR 교육을 실시하는 다양한 교육방법을 시도했다.
주민 정보화 교육의 경우에도 울산시는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중구청의 경우는 특히 자체 지역정보센터를 마련, 지난해 2150명의 주민을 교육했으며 울산SW지원센터(800명)·여성회관(720명)·동구청교육장(400명)·종합사회복지관(300명)·농업기술센터(120명) 등 이용 가능한 공공시설을 정보화 교육 공간으로 활용했다.
울산시는 지역정보화 사업에도 적극 나서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사이버 울산가이드 시스템」의 구축에 나서 각종 민의를 수렴하는 한편 「관광도시 울산」의 이미지를 높였다. 사이버 울산가이드는 관광지·지도정보·교통 등 주민생활과 직결되는 1300여종의 안내정보를 서비스하는 무인 자동안내시스템으로 중국·프랑스어·독일·스페인어 등 4개 국어로 번역·서비스되고 있다.
e메일 주소 보급도 활발히 추진했다. 공무원의 경우는 이미 100% 보급을 끝냈으며 시민을 대상으로 한 e메일 보급운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오는 2002년까지 모두 1억3400만원을 투입, 1세대 1e메일주소를 무료로 보급한다는 계획도 세워놓았다. 이를 통해 시정소식이나 기본통계자료, 시험안내 등 행정정보서비스와 시민생활 불편서비스, 정책건의사항 등 민의 수렴 대민서비스 질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속사업으로 펼치고 있는 도시종합정보관리 전산화사업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 지난 95년부터 추진해온 이 사업은 모두 105억원을 투입, 수치지도 제작과 시설물 DB구축 사업을 벌였으며 내년까지는 모든 공정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지금까지 대부분 지역의 사업을 마무리했으며 현재 남구 하수시설물 DB구축 사업만 남겨놓고 있다.
행정정보화 사업으로는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이미 정보통신 장비 및 스위칭 허브 등을 도입했으며 인터넷 보안장비와 고속 백업시스템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전자결재시스템과 EDMS·지식행정시스템을 통합, 최고결재권자의 정책결정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대민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온라인시스템 운용에도 힘을 기울였다. 현재 자동차·건설기계·이륜차·지적·통계연보 등의 신규등록 및 이전등록, 검사 등을 온라인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지방세종합체납·세외수입관리·건축행정관리·상수도요금·지역안전관리·재정관리 등도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 같은 시책 이면에는 물론 초고속통신망의 개통이 기반이 됐다. 구내 정보통신망(LAN)이 관청마다 깔려 있으며 행자부가 이달 완료한 지방행정정보망도 구는 물론 읍면동까지 깔려 있다.
그러나 지난 6월 조사한 PC보급률을 보면 전체 가구의 33% 정도만이 PC를 보유하고 있는 형편이며 인터넷 가입자수도 4만5142명(4.41%)에 그치고 있다. 물론 군지역을 포함한 광역시라는 특성도 무시할 수 없지만 공무원 정보화에 비해 지역주민의 정보화 수준이나 정보기기 이용률이 낮아 이를 보완·개선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