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민간기업들이 전자무역 활성화에 필수적인 국제공용의 전자무역대금 결제시스템에 관한 한국적 모델 구축에 본격 나섰다.
21일 산업자원부는 그동안 국내 은행권과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적용을 위한 연구·검토가 이뤄지던 볼레로·트레이드카드·벡스콤 등 세계적인 전자무역결제시스템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한국에 진출함에 따라 민관 공동으로 국제 공용의 전자무역결제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자무역결제 작업반」을 구성키로 하고 오는 12월 4일 첫 모임을 갖는다고 밝혔다.
산자부측은 이에 앞서 지난 17일 한빛·외환·조흥은행 등 주요 은행의 e비즈 담당 부서장, 삼성물산 등 종합상사 및 무역관련 기관 대표들과 이같은 한국적 결제모델과 시스템 구축에 노력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에따라 전자무역결제 작업반은 내년 상반기까지 월2회 이상 모임을 갖고 전자무역결제시스템 국내 적용을 위한 모델구축 등의 현안 과제를 집중 토의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작업반은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은행권에서 의장을 맡고 여타 기관·상사 관계자들이 사용자 입장에서 검토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산자부 전자상거래총괄과 조동우 서기관은 『향후 세미나 등을 통해 작업반에서 도출된 내용에 대해 일반의 의견을 수렴하고, 전자거래정책협의회에 이 의견을 상정해 필요한 법제도적 사항에 대해서는 부처간 협의를 추진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자무역의 장애요인으로는 △적절한 대금결제 수단의 결여 △물류체계 미비로 인한 배달 지연 △결제관련 분쟁해결의 어려움 △전자무역 전문인력 부족 등이 꼽히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지난 94년 6월 홍콩·네덜란드·스웨덴·영국·미국의 운송회사·은행·통신회사 등이 참여한 볼레로, 세계무역센터협회와 미국의 기업 주축으로 구성된 트레이드카드 등이 진출해 있다.
<이재구기자 jk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