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행정부처 가운데 전자결재 이용률이 가장 높은 부서는 정보통신부인 것으로 파악됐다.
26일 행정자치부가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46개 중앙 행정기관의 총 문서대비 전자결재 건수를 조사해 국무회의에 제출한 「전자결재율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통신부가 97.3%로 가장 높았으며 농림부 92.6%, 과학기술부 86.5%, 산림청 86.2%, 기획예산처 85.9%, 중앙인사위원회 85.0% 등의 순으로 전자결재율이 높았다.
전체기관의 평균은 54.9%로 전자결재가 본격도입된 지난 98년 12월 21.2%에서 99년 7월 32.5%, 2000년 3월 39.0%, 2000년 6월 46.7%로 꾸준히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올해 최고 300억원 정도의 비용이 절감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반면 국무총리 비서실은 전자결재율이 1.3%로 가장 낮았으며 여성특별위원회(3.2%), 식품의약품안전청(5.5%), 대검찰청(10.5%), 금융감독위원회(15.0%), 국정홍보처(16.8%) 등은 10%대 이하에 머물렀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지난 6월 중앙부처에 전자결재를 위한 시스템 도입을 완료하고 공무원들의 e메일 보급률이 97% 이상으로 높아지면서 전자결재 이용도 늘어났다』며 『내년 상반기까지는 모는 부처의 전자결재율이 50%를 넘도록 독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재구기자 jklee@etnews.co.kr>
<기관별 전자결재율 순위>(2000.1∼9월)
+--+--------+-------+
|순위| 기 관 명 |총생산문서대비|
| | |전자결재율 (%)|
+--+--------+-------+
| 전 체 평 균 | 54.9 |
+--+--------+-------+
| 1 |정보통신부 | 97.3 |
| 2 |농림부 | 92.6 |
| 3 |과학기술부 | 86.5 |
| 4 |산림청 | 86.2 |
| 5 |기획예산처 | 85.9 |
| 6 |중앙인사위원회 | 85.0 |
| 7 |관세청 | 84.4 |
| 8 |문화관광부 | 82.2 |
| 9 |보건복지부 | 76.7 |
| 10 |공정거래위원회 | 75.9 |
| 11 |행정자치부 | 72.6 |
| 12 |환경부 | 69.6 |
| 13 |조달청 | 69.1 |
| 14 |중소기업청 | 66.5 |
| 15 |건설교통부 | 64.7 |
| 16 |통계청 | 64.0 |
| 17 |기상청 | 60.0 |
| 18 |국가보훈처 | 57.6 |
| 19 |산업자원부 | 57.1 |
| 20 |노동부 | 56.5 |
| 21 |국방부 | 47.1 |
| 22 |청소년보호위원회| 47.0 |
| 23 |외교통상부 | 46.8 |
| 24 |국무조정실 | 44.9 |
| 25 |민주평화통일(의)| 43.0 |
| 26 |병무청 | 42.3 |
| 27 |문화재청 | 42.2 |
| 28 |법제처 | 41.9 |
| 29 |해양수산부 | 40.5 |
| 30 |해양경찰청 | 36.9 |
| 31 |고충처리위원회 | 36.9 |
| 32 |철도청 | 36.8 |
| 33 |비상기획위원회 | 36.0 |
| 34 |교육부 | 35.4 |
| 35 |경찰청 | 35.2 |
| 36 |법무부 | 32.5 |
| 37 |국민경제자문회의| 30.0 |
| 38 |재정경제부 | 24.3 |
| 39 |통일부 | 21.7 |
| 40 |농촌진흥청 | 17.4 |
| 41 |국정홍보처 | 16.8 |
| 42 |금융감독위원회 | 15.0 |
| 43 |대검찰청 | 10.5 |
| 44 |식품의약품안전청| 5.5 |
| 45 |여성특별위원회 | 3.2 |
| 46 |국무총리비서실 | 1.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