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업계에 솔루션사업 진출 열풍이 불고 있다. 커뮤니티나 쇼핑몰 등 서비스를 제공하던 인터넷업체들이 솔루션사업에 손을 대기 시작한 데 이어 대형 SI업체들도 이 사업을 강화했다. 또 대형 e마켓플레이스들도 당초 수립했던 수수료 기반의 수익모델과는 달리 솔루션 판매 및 ASP사업에 주력키로 하고 최근 전략을 수정했다. 대기업까지 지난해말부터 자회사를 설립하거나 관계사들을 한데 묶어 B2B 전자상거래 솔루션사업에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현황 =대형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의 올해 사업계획에는 「솔루션사업 진출 및 강화」라는 문구가 빠지지 않는다. 다음커뮤니케이션이 자회사 유아이엔 사명을 다음솔루션으로 바꾸고 본격적인 솔루션사업 진출을 선언했고 인터파크도 빌더스넷 등 e마켓플레이스 구축 경험을 토대로 B2B 솔루션 및 티켓예매 시스템 공급사업 진출의사를 밝혔다. 야후코리아 역시 본사 차원의 솔루션사업 전략에 따라 이 분야에 적극 뛰어들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의 솔루션 사업진출도 눈에 띈다. 삼성그룹은 B2B 솔루션 전문업체 「워드솔루션즈」를 설립하고 이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SK글로벌은 아이윙즈·시큐브·나라비전 등을 모아 「토털 e솔루션」 사업을 진행키로 했다. 제일제당 계열 물류업체인 CJGLS도 전자상거래 토털 솔루션 사업에 나설 예정이다. 인컴아이앤씨·데이콤시스템테크놀로지·신세계아이앤씨 등 SI업체들도 이 분야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배경 =이처럼 너도나도 솔루션사업에 뛰어드는 것은 인터넷 및 업체들이 올해 최대 목표를 수익성 확보에 두었고 이를 위한 가장 적합한 수단이 솔루션사업이라는 결론을 내렸기 때문이다. 지난해 수익모델 부재로 어려움을 겪었던 인터넷서비스 업체들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솔루션사업으로의 방향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또 SI 및 대기업의 솔루션 분야 신규 진출은 올해 B2B 솔루션 수요가 크게 급증하리라는 판단에 근거한다.
산자부가 추진하는 업종별 B2B사업, 각 공공기관의 자체적인 전자구매시스템 및 마켓플레이스 구축 등 굵직한 프로젝트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업계에서 추정한 지난해 B2B솔루션 시장규모는 300억원선이며 올해 예상 시장규모는 1500억원으로 5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망 =이처럼 업체들이 대거 솔루션시장에 뛰어듦에 따라 이 분야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대기업의 경우 대규모 자본과 계열사를 중심으로 기본적인 물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소규모 전문업체들에는 위협적인 존재로 인식될 수 있다. SI업체들은 단순히 솔루션 판매뿐 아니라 그동안 축적해온 인력을 기반으로 컨설팅과 시스템 구축 등 제반 인프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다.
이에 대해 전문 솔루션업체들은 수년간 쌓아온 기술력을 무기로 자신감을 내보이면서도 나름대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전문업체들은 제휴를 통해 각사가 보유한 요소기술을 공유하는 등 공조체제를 갖춰 나갈 전망이다. 이미 이네트·파이언소프트·아이컴피아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이를 시발탄으로 XML 등 요소기술 보유업체들간 제휴가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원기자 kwju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