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 정보보호기술훈련장 교육대상 바뀐다

해킹방지 전문가 양성을 위해 정보통신부 주도로 추진중인 「정보보호기술훈련장(가칭)」의 교육 대상이 당초의 해커나 크래커에서 신분이 확실한 국가공무원으로 바뀐다.

1일 관계 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정보통신부는 국가정보원, 외교통상부, 국방부, 대검찰청, 경찰청 등 유관 부처 및 기관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정보보호기술훈련장의 효율적 구축을 위한 관계기관 회의」를 갖고 만에 하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보안 사고에 대비해 대상범위를 신분이 확실한 공공분야 종사자로 한정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았다. 또 향후 훈련장 개방범위 확대에 대해서는 운영협의회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당초 정통부는 언더그룹에서 활동하는 해커와 크래커를 양지로 끌어올려 최신 해킹기법을 파악, 해킹방지를 위한 기술개발에 활용하기 위해 훈련장 구축계획을 전개해왔다. 그러나 신분노출을 꺼리는 해커의 속성상 사용자인증 절차를 우회하거나 역공격을 통해 국가망에 직접 접속해서 시스템을 파괴할 수도 있다는 주위의 여론에 따라 대상을 공무원이나 경찰 등 신분이 확실한 국가공무원으로 한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훈련장을 해킹대응훈련차원에서 운영키로 하는 한편, 건전한 해킹문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한 훈련장을 앞으로 도입예정인 정보보호기술자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시험장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주문정기자 mjjo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