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최근 일본 컴퓨터엔터테인먼트소프트웨어협회(CESA)의 한국업체 참여금지 조치에 대해 불공정 행위의 우려가 있다고 보고 강력히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문화관광부는 「2001 도쿄게임쇼」 주최측인 CESA측이 국내 아케이드 게임업체의 참여를 불허한 것과 관련, 『다각적인 외교 루트를 통해 이같은 조치에 대한 정황과 배경 등을 확인하고 있다』면서 『정황과 방증을 통해 주최측이 한국 게임산업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였다는 게 확인되면 그에 상응한 외교적 대응을 해 나가겠다』고 27일 밝혔다.
문화부는 이에 따라 일본에 대한 외교적 대응 수위를 적극 검토중이며 그 가운데는 올해 단행될 제4차 일본 대중문화에 대한 개방범위 축소 또는 시기 연기 및 일본 게임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 등이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부의 한 관계자는 『3차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후 한일 양국간 문화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같은 사태가 벌어져 유감』이라면서 『만약 언론의 보도 내용대로 CESA측이 우월적 지위를 앞세워 한국 게임업체에 불이익을 줬다면 그에 상응한 조치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CESA측은 『도쿄게임쇼는 가정용 비디오게임 관련 전시회이고 아케이드 게임과 관련해서는 가정용으로 컨버전한다는 준수 규정을 엄수해야만 예외적으로 출품을 인정해주고 있다』며 이번 한국 게임업체 참여 금지조치에 대한 입장과 배경을 알려왔다고 첨단게임산업협회(회장 박영화)측은 밝혔다.
문화부는 그러나 이같은 CESA측의 답변이 불충분하다고 보고 게임종합지원센터(소장 성제환)를 통해 추가로 질의를 내보내도록 지시했다.
이에 따라 게임지원센터는 2차 질의서를 통해 △1999년과 2000년도에도 한국 업소용 게임이 출품될 수 있었던 이유와 △2001년 참여 요강에 업소용 게임의 출품이 금지된 배경 △일본 게임업체의 업소용 게임이 올해 전시회에 출품됐는지의 여부와 어떤 게임을 어떠한 사유로 출품을 허락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CESA측에 요청했다.
이번 사태는 이달 중순 개최되는 도쿄게임쇼를 주관하는 CESA측이 『전시회에 참가한 한국 아케이드 게임업체들이 매번 일본 업체들과 저작권 문제를 야기했다』며 게임 내용과 관계없이 한국 아케이드업체들에 대한 전시회 참가를 저지함으로써 빚어졌다.
국내 업계는 이에 대해 일본 업계가 AOU·잠마쇼 등 일본내에서 열리는 아케이드 게임쇼에 한국업체의 참여를 막고 그동안 한국업계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던 도쿄게임쇼 주최측마저 이를 저지하고 나선 것은 한국 아케이드 게임업계의 일본 진출을 원천 봉쇄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을 보여왔다.
<이창희기자 changhlee@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