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IT포럼 지상중계>북한의 IT현황과 정책방향

◆안준모 건국대 경영정보학과 교수

평양시 보통강 구역 경흥동에 위치한 평양정보쎈터(PIC)는 지난 86년 조총련과 유엔개발계획(UNDP)의 지원으로 설립됐다.

조선어 문서편집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음성인식·문자인식·음성합성·기계번역 등 조선어 정보처리 종합체계를 구성, 민족 프로그램 기술을 적극 발전시켜 프로그램분야에서의 주체성과 민족성 확립을 목표로 설립된 PIC는 현재 최주식 총사장의 지휘 아래 180여명의 연구인력이 모두 18개 연구개발그룹으로 구성돼 있다.

PIC 부속기관인 프로그램 강습소에서는 연간 500명을 교육하고 일본지사는 조총련 인력을 활용중이다. 총책임자 및 관련 관리자들이 모두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는 PIC는 연 100여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해 총매출 100만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PIC는 과제를 특급 및 1급부터 5급으로 분류해 수행하는데 개발인력의 노하우 및 솔루션 확보 가능성에 따라 분류한다. 평양주재 해외기관에 대한 서비스 수행시 시간당 약 10달러를 받는 PIC는 향후 400여명의 연구개발인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PIC의 연구개발조직은 다매체제작실·문서프로그램실·출판프로그램실·서체개발실·CAD프로그램실·언어정보연구실·프로그램공학실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특히 디지털 영화 및 영상 제작을 담당하는 다매체제작실과 200여개의 서체를 개발한 서체개발실, 2차원 설계프로그램인 「들」과 3차원 프로그램인 「산악」을 아시아컴덱스에 출품했던 CAD프로그램실과 문자인식분야를 담당하는 언어정보연구실 등은 북한의 최고 인재집단이라는 자부심이 대단하다.

또 지난 90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지시에 의해 설립된 조선콤퓨터쎈터(KCC)는 약 800명의 기술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KCC는 자체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박사원·강습소를 운영하는 한편 프로그램 판매 및 해외무역도 담당한다.

KCC는 북한실정에 맞는 OS개발, 리눅스, 조선어 음성 인식, 문자인식시스템 등을 개발하는 체계프로그램 개발집단을 비롯해 3D화면 제작기술을 개발중인 다매체개발집단, 경영관리프로그램개발집단, 영상인식 및 생체정보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전문가체계개발집단, 응용프로그램개발집단, 품질관리프로그램개발집단 등 모두 6개로 구성돼 있다.

KCC가 보유하고 있는 제품은 「자동지문검색체계」와 「심전도 자료해석 및 진단

체계」 「자동항해 지휘체계」 「음향기구 설계지원 프로그램」 등을 비롯해 조선을 위해 배우자와 혼자서 배우는 조선말 등 「교육프로그램」 등 다양하다. KCC가 현재 개발중인 제품들은 「3차원 그래픽 프로그램」 「조선글 리눅스체계 프로그램」 「화자식별 프로그램」 「전자지도정보체계」 등이다.

또 장기적 관점에서 개발하려는 기술들은 크게 다섯가지다. 인간과 기계의 자유로운 대면을 실현하는 응용제품과 유전자정보에 의한 생물정보공학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의료진단 전문가체계 기술, 3차원 컴퓨터그래픽 기술을 이용한 가상현실 응용제품, 첨단지식 추출과 자료해석기술에 의한 정보분석체계, 21세기의 요구에 맞는 높은 품질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품질 계측 및 품질 분석·관리 기술개발 등이 그것이다.

이같은 상황을 고려해 남측은 벤처기업을 활용한 제품별 제휴 등을 통해 개별기업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위험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개발 시설제공과 세제혜택 등 법·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 남측의 일관된 비즈니스 모델의 제시와 합의된 목소리를 전달하는 제도 및 조직이 필요하다.

북한은 마케팅 역량 및 시장정보를 원하고 있으며 기존 임가공사업이 중국 등의 경쟁국에 비해 고부가가치산업이 아님을 확인하고 소프트웨어분야에서 달러 획득의 고부가가치성을 인식했다.

남측은 공동시장 선정 및 역할분담에 의한 사업화 및 이익공유모델 시도를 추진해야 하며 북측 솔루션의 시장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차원의 협력사업이 제일 급선무다. 정부차원에서는 남쪽 또는 세계화 가능성이 높은 소프트웨어의 가공 및 업그레이드 사업에 대한 촉진정책 수립이 시급하다.

또 시장성과에 따른 수익의 분배로 남북이 협력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단순 아웃소싱 개념이나 저렴한 인력활용 차원은 실패확률이 높고 사업협력의 형태도 합자나 단계별 계약의 형태를 띠고 최후의 이익공유를 확약하는 투명한 협력이 필요하다.

즉 합자회사, 제품 판매후 수익 공동배분, 일정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한 제품개발 및 수익공유 등 북측도 리스크의 공동부담 파트너로 역할을 하는 구조하에 협력을 전개해야 한다.

남한은 남북교류 활성화를 뒷받침할 만한 충분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결국 벤처기업 및 인큐베이션을 통한 시장접근전략 등의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창출의 기회이기도 하다.

정부의 경우 벤처기업의 실험적 접근을 지원하는 인프라 구축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북측은 이미 일본·중국·싱가포르 등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시험가동하고 있다.

향후 북측이 중국시장에 더욱 협력적 전략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북한의 발목을 잡고 있는 전략물자반출제한 규정 등은 경제적 실리에 따라 해석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