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26 개각으로 대통령 소속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한 김덕배 대통령 직속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위원장(47)은 대전·충남지역 중소기업의 업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18일 정부 대전청사 중기청을 방문했다.
취임하자마자 “중소벤처기업들이 겪는 애로사항을 발로 뛰어 찾아내 해결하는 전담 중추기관으로 자리잡겠다”고 밝힌 김 위원장은 이날 중기청 기술지원센터에서 열린 ‘대전·충남지역 중소벤처기업정책 대토론회’에 참석, 지역 중소기업인과 유관기관 관계자에게 정부의 중소기업지원정책을 설명하고 참석자들과 의견을 교환하는 등 중소기업 현장에 다가서는 밀착지원정책 마련에 열심이다.
이날 정부 대전청사에서 김 위원장을 만나 향후 중소기업정책의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편집자◆
“우리나라가 수출증대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무역정책 기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견실한 중소기업 정책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김덕배 중소기업특별위원장은 “지난 3년간 정부가 추진해온 중소·벤처기업 시책이 점차 실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며 “부처간 조율을 통해 중소·벤처 시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IMF 이후 구조조정이 거의 마무리되는 현 시점에서 국가의 거시지표가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국가 경제 회복에는 중소기업의 역할이 컸으며 향후 국가 운명을 좌우할 정도로 중소기업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봅니다.”
기구 운영에 문제점이 없느냐는 질문에 김 위원장은 “중소기업특별위원회 구조상 하부구조가 제대로 뒷받침되지 않아 정책입안 및 수행에 어려움이 많다”고 토로했다.
김 위원장은 “상부구조는 각 부처 차관 및 청장, 벤처관련 협회장 등으로 구성돼 각기 다른 부처 업무를 조율하기에는 그런대로 잘 갖춰져 있다”며 “그러나 실질적으로 위원회를 이끌어가는 실무자들이 1년 단위의 파견근무로 인해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따라서 실무자들이 책임감을 갖고 일할 수 있도록 위원회를 처로 승격시키는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김 위원장은 자금난 및 마케팅 부족, 인력난, 기술개발의 어려움 등 4가지를 꼽고 “조만간 용역을 발주시켜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도록 하겠다”며 “실무자 협의 등을 충분히 거친 후 늦어도 오는 10월 정책적 입안과 제도적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결책을 도출해 내겠다”고 밝혔다.
특히 마케팅이 중소기업 성장의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팽배함에 따라 향후 부처 협의를 통해 마케팅과 관련한 전략적 회의를 개최함으로써 판로모색 등에 적극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중기청의 대전 이전으로 대전·충남 지방중기청이 폐쇄된 것과 관련, 김 위원장은 “대전시나 충남도에서 국감을 통해 지방중기청의 중요성을 강조, 신설을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행자부와 기획예산처 등 관련부처의 경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행자부가 무조건 늘려서는 안된다는 식의 행정편의주의식 관념을 깨고 탄력적인 조직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앞으로 관련부처를 설득, 대전·충남 지방중기청 부활을 최우선적으로 진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