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콤과 지역방송운영자(SO)의 전송망 사용을 둘러싼 갈등이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다.
양측은 지난달 정보통신부의 중재로 대책회의를 갖고 별도의 협상단을 구성하는 등 타협점을 모색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회의에서 정통부 방송위성과 차양신 과장은 “양측이 참여하는 상설 합의체를 구성, 450∼550㎒ 주파수 대역의 과도기적 공유를 기술 기준에 한시적으로 반영할 것” 등을 중재안으로 제시했으나 양측은 즉답을 피한 채 발전적인 방향에서 이 문제를 풀어나간다는 데만 합의했다.
문제는 지역사업자간 충돌 움직임.
최근 남인천방송은 필터 부착을 시도하려는 파워콤 직원들과 몸싸움을 벌였으며 서울 지역 일부 SO들은 지상파 및 주요 케이블 채널을 확장 대역에 배치해놓는 등 배수진을 쳐놓고 있다. 이는 필터 부착에 따른 채널 전송 중단 책임을 전송망사업자에 돌려 시청자들의 민원을 파워콤 쪽으로 쏠리게 하겠다는 것.
이와 함께 케이블TV SO협의회는 최근 파워콤의 멀티ISP 정책의 합법성 여부에 대한 법률 검토 작업도 진행 중이다. SO협의회 정의영 사무처장은 “파워콤 망을 임대해 사용 중인 초고속인터넷 사업자들이 가입자에게 별도의 케이블TV 가입 절차 없이 무료로 케이블TV를 볼 수 있도록 배선을 해주고 있는 실정”이라며 “파워콤은 이를 방조하고 있는 데 대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파워콤 사업전략실 조재봉 팀장은 “총 390명의 인원으로 모든 ISP를 감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며 “이 같은 사안으로 SO 측이 또 다른 문제를 제기한다면 양측의 갈등은 쉽게 봉합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측의 협의체 구성 합의에 따라 SO 측은 7일 사장단 회의를 열고 논란을 빚고 있는 전송망 문제를 집중 논의할 예정이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