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자와 숙련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초보자들은 티샷을 비롯한 정상적인 상태의 공은 잘 처리하다가도 공이 페어웨이를 벗어나 러프나 해저드에 일단 들어가게 되면 욕심을 부리거나 당황하거나 겁부터 먹고 샷을 하기 때문에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하는 반면에 숙련자들은 침착하고 안정되게, 그러면서도 필요한 지혜와 기술을 총동원해 플레이하기 때문에 일순간에 경기 전체를 무너뜨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때문에 초보자들은 연습장에서 정상적인 샷 연습만 할 것이 아니라 평소에 틈틈히 높게 띄우는 샷이나 반대로 낮게 깔아 치는 샷, 의도적인 훅이나 슬라이스 또는 사용하지 않는 손으로 반대로 치는 백핸드 샷 연습 등을 해둬야만 실제로 당면했을 때 실수를 하지 않게 된다.
틈틈이 트러블 샷 연습을 해두자
러프에서 어프로치를 할 경우 스윙도 정확히 해야 하지만 두뇌를 잘 사용할 줄도 알아야 한다. 물론 러프라 할지라도 정상적으로 스윙하기에 전혀 지장이 없는 곳일 경우 별 문제가 없으나 대개의 경우 일단 공이 러프에 빠지게 되면 임팩트 때 공과 클럽 사이에 풀이 끼어 공에 백스핀을 걸 수 없게 된다. 때문에 공이 일단 러프에 들어갔을 때는 대체로 그린 앞에 약간 짧게 공을 떨어뜨린 다음 깃대를 향해 굴러가도록 어프로치샷을 한다. 그림A 참조
그러나 그린과 공 사이에 벙커나 연못과 같은 장애물이 놓여있을 때 초보자들은 대체로 공을 장애물에 빠뜨리지 않으려는 단 한가지 염려 때문에 어처구니 없이 강하게 친다. 결국은 공이 그린에 떨어져 크게 한번 튕겨진 다음 그린을 넘어가 깊은 러프에 빠지고 만다.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는 공을 그린에 직접 올려놓으려고 애쓰지 말고 그린 옆에 가깝게 일달 보내놓고 그 다음 샷으로 공을 핀에 붙여 원퍼트로 세이브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 된다. 그림B 참조
그러나 그린이 아주 부드럽거나 오르막 경사일 때는 비록 러프에서일지라도 깃대를 직접 공격하는 것이 최상의 공격법이 될 수도 있다. 그림C 참조
<러프에서 산뜻하게 플레이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