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낙경의 벤처만들기>(5)벤처투자,심사가 하나 사후관리가 아홉

 최근들어 벤처캐피털이 나름대로 벤처기업의 경쟁력 향상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사례를 자주 보게 된다.

 이들 프로그램은 기존의 단순한 자금지원 차원에 머물지 않고 경영전략 수립, 법률자문, 마케팅, 인수합병(M&A), 인력, 기업공개(IPO) 지원 및 각종 네트워크 활동 등 중소·벤처기업에 흔히 부족한 비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투자대상기업에 대한 경영역량 강화를 위한 이러한 움직임은 기업입장에서 보면 매우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이 서비스를 벤처투자회사에서는 통상 ‘사후관리’라는 말로 묶어 쓰고 있다.

 벤처투자시장이 본격화하기 전인 지난 90년대 중반까지 창투사들의 주된 사후관리기능 중 하나는 투자기업에 대한 후속자금을 어디서, 어떻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느냐였다.

 그래서 이들은 비교적 자금지원 규모도 크고 금융서비스가 다양한 몇몇 신기술사업금융회사를 부러워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신기술사업금융업자들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자금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후관리업무를 피투자기업에 대한 융자업무나 부실자산의 회수 등 금융서비스에 국한할 수밖에 없었다.

 2∼3년전부터 벤처기업들은 거의 모든 자금을 직접 금융시장에서 주식을 발행해 조달하고 있다.

 게다가 기업의 성장단계별로 투자가그룹이 엔젤·벤처캐피털·기관투자가 등으로 세분화하면서 벤처캐피털의 입지가 좁아졌고 유망 투자아이템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도 더욱 치열해졌다. 또 코스닥 등록 외에도 제3시장이나 M&A 등 투자회수방안도 다양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벤처캐피털들은 투자라는 본연의 무기로 승부를 가려야만 하게 됐고 과거 수동적이고 방어적 성격의 사후관리기능도 보다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바뀌게 됐다.  

 하지만 벤처캐피털의 서비스 다각화 정책에 대해 벤처기업들은 표면적으로 환영하면서도 충분히 공감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그 이유는 이러한 서비스가 결국 전문성·지속성·체계성 등이 부족하고 항상 결론은 자금력의 문제로 귀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임무를 현장에서 수행하고 있는 벤처캐피털의 심사역들 역시 경영지원에 따른 후속 자금지원 부담 때문에 적극적이지 못한 점도 아쉽다.

 국내 벤처캐피털이 적극적으로 투자기업의 경영역량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은 국내 벤처산업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 올릴 수 있는 바람직한 변화다.

 이제 우리도 미국을 비롯한 벤처 선진국의 사례에서 보듯, 벤처에 대한 인큐베이팅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