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CIO]농림부 농업정보통계국 김재수 국장

 “올해는 장기적인 청사진을 밝힌 농촌정보화 추진의 원년입니다. 농촌 정보화를 통해 농산물 유통 개선과 농민 삶의 질적 향상을 이뤄낼 계획입니다.”

 농림부의 정보화 사업을 총괄하는 농업정보통계국 김재수 국장은 농촌정보화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여념이 없다.

 도농간 정보격차는 상당히 크다. 농림부가 조사한 결과를 보더라도 도시를 100으로 했을 때 농촌의 정보화 지수는 25.3에 불과하다.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정보 격차가 소득과 생활의 격차로 이어진다. 특히 정보화 사업 초기 단계에 대한 대응이 늦다면 격차는 더 벌어질 수밖에 없다.

 “농촌정보화 추진 5개년 계획은 정보화 기반 확충, 정보 콘텐츠 확대, 디지털 유통 기반 조성, 농림 행정정보화 추진이라는 4가지 사업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이 중에서 디지털 유통 기반 조성에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디지털 유통 기반 조성은 농산물의 생산 및 출하, 판매 등의 과정과 정보를 전산화하는 유통정보시스템과 1만농가 홈페이지 구축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추진으로 이뤄진다. 지금까지 농산물 유통은 생산의 주체인 농민이 소외당한 채 유통업자에 의해 좌지우지돼 왔다. 농림부는 유통정보시스템으로 농민에게 가격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전자상거래로 직접 판매의 길을 터준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홈페이지를 통해 전자상거래를 하고 있는 전국의 농가를 찾아다녔습니다. 농림부에 온 이후에 농가를 찾아가면 농가 부채나 가격 파동 때문에 욕만 먹었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농림부 칭찬을 들으니 정보화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실감했습니다.”

 정보화 추진의 기초 공사인 컴퓨터와 초고속인터넷 보급도 중요한 사업이다. 농림부는 2005년까지 농가 PC 보급률을 50%가지 끌어올리고 전국에 350개의 정보화 교육장을 만들 계획이다. 또 2002년까지 전국 198개 읍 소재지와 1220개 면 소재지에 초고속인터넷 서비스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사업 계획을 실현하는 것은 결국 사람입니다.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중앙에는 농림부 차관을 중심으로 각 부처의 관련 국장이 참여하는 농촌지역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또 실질적인 사업 추진의 견인차 역할을 할 농촌 지역 기관장으로 이뤄진 지역 협의체를 활성화할 것입니다.”

 사업 계획과 조직이 갖춰졌으면 남은 것은 사업 추진에 필요한 돈이다. 농림부는 농촌 정보화 5개년 계획에 국비 2397억원과 지방비 452억원, 수익자 부담 429억원 등 총 3277억원 규모의 투자 계획을 편성했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