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원회(위원장 김정기)가 프로그램공급업자(PP) 등록증 교부과정에서 동일한 채널명을 중복 등록해줘 물의를 빚고 있다.
방송위 행정3부는 지난달 9일 열린방송(대표 박성남)이 신청한 생활정보조사 장르의 ‘리서치TV’에 등록증을 교부한 뒤 20일 중앙방송이 동일한 명칭으로 신청한 생활정보 채널에도 등록증을 내준 것.
이 사실을 확인한 열린방송은 방송위측에 즉각 시정조치를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했고 중앙방송도 뒤늦게 채널명을 ‘소비자채널’로 변경해 위성방송 PP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는 등 해프닝이 벌어졌다.
중앙방송 관계자에 따르면 “열린방송이 등록증을 받기 전에 사업계획서를 접수한 상태여서 중복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기 어려웠다”며 “이는 전적으로 방송위의 실수”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방송위 한 관계자는 “한꺼번에 워낙 많은 사업자가 접수한 탓에 미처 확인을 못한 것 같다”며 “사업자간 조정으로 별 무리없이 잘 해결됐다”고만 해명했다.
그러나 열린방송측은 방송위의 이같은 실수에 대해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열린방송 김성수 본부장은 “채널명조차 확인하지 않고 허술하게 등록증을 교부한 데 대해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며 방송위의 행정난맥을 우려했다. 김 본부장은 특히 “이와 관련해 방송위 고위층에 여러차례 이의를 제기했으나 방송위는 실무자선에 책임을 돌리는 등 대충 덮어두려는 태도를 보였다”며 방송위의 실종된 책임행정을 꼬집었다.
이에 대해 방송계의 한 관계자는 “아무리 소수인원이 행정업무를 전담하고 신고제에 가까운 등록제라 하더라도 사업계획서 만큼은 꼼꼼히 살폈어야 했다”며 방송위의 무성의한 근무태도를 지적했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