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은 지난 28일 서울 한남동 승지원에서 이건희 회장 주재로 전자·전기·SDI·코닝 등 전자4사 사장단 회의를 갖고 부가가치와 수익성이 높은 제품 위주로 경쟁사와 차별화한 경영을 전개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삼성전자는 반도체 시황 회복에 대응해 256M D램의 주력 제품화를 앞당기고 램버스 D램, 더블데이터레이트(DDR) SD램, S램 등 고부가가치 제품의 비중을 높이기로 했다.
삼성SDI는 브라운관사업 운영전략과 PDP·2차전지 등 신규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으며 삼성전기와 삼성코닝은 1위 제품 육성전략과 아울러 첨단부품의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 이 회장은 “IMF 이후 지금까지는 단순·평면적 구조조정만으로도 생존할 수 있었으나 이제부터는 5∼10년 후의 주력상품을 개발하고 기존 제품의 일류화에 역점을 두지 않으면 안된다”고 말했다.
특히 이 회장은 “막대한 자금을 들여 반도체 한 라인을 증설해 투자 위험을 안기보다 연구개발(R&D)과 기술인력 투자를 확대해 효율을 높이는 것이 안전하고 더 이익을 올릴 수 있는 방안”이라며 반도체 투자의 효율성을 강조했다.
이 회장은 또 “수요예측시스템을 더욱 강화한 시나리오 경영을 통해 경기둔화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어려운 시기일수록 핵심인력과 국내외 우수 기술자를 조기에 확보해 미래에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6시간 동안 마라톤 회의로 진행된 이날 회의에는 삼성전자 윤종용 부회장, 이윤우 사장, 진대제 사장, 이기태 사장, 최도석 사장, 한용외 사장, 이상현 사장, 황창규 사장, 임형규 사장, 이상완 사장, 삼성전기 이형도 부회장, 삼성SDI 김순택 사장, 삼성코닝 박영구 사장과 이학수 구조조정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신화수기자 hs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