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02년까지는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기반 인프라 구축이 완료된다. 물론 지속적인 사업이기는 하지만 전자정부의 초석이 일단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전자정부는 무엇보다도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더욱이 전자정부는 새로운 정부의 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전자정부학과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설한 건국대 김용제 주임교수(62)는 시선을 한 몸에 받고 있다.
김 교수는 원래 알코언주립대·테네시주립대 등에서 정치학을 강의해온 정치학자이자 남북통일 전문가. 지난 81년부터는 민주평화통일정책자문위원을 맡아왔으며 ‘21세기 통일시대 준비를 위한 한민족의 과제’ ‘한반도통일론’ ‘인터넷을 이용한 남북교류방안 연구’ 등 논문과 저서 발간에도 심혈을 기울여 왔다.
김 교수가 전자정부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지난 99년부터다. “김 교수는 전자정부를 추진할 경우 학계와 연구소 및 정부가 공동으로 추진하되 학교나 연구소는 연구개발에 치중하고 정부는 국가전략 차원에서 이를 토대로 실행하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며 “현재 우리나라는 이같은 체계가 부족하고 시행착오도 일부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의 원인으로 전자정부를 실행하고 또 주도하고 있는 부처 담당자들의 ‘전자정부 문화’가 결여돼 있다는 점을 들었다. 전자정부를 제대로 구현하고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전자정부학을 이론적 측면에서 연구·발전시키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전자정부 전문가 배출이 우선이라는 생각이다.
그런 의미에서 건국대에서 국내 최초로 대학원 석사과정으로 개설한 ‘전자정부학과’는 의미있다고 보고 있다. 이미 전자정부 구현을 국가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해 놓은 상태이고 세계적인 국가관리의 패러다임이 전자정부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이미 전자정치학·전자정부론·행정정보체계론·경영설계재설계론·전자주민자치론·국가지리정보시스템 등의 과목을 개설했다.
김 교수는 “현재 학생을 모집하고 있는 전자정부학과는 석사학위를 취득하면 졸업자들이 각급 정부기관의 CIO는 물론 민간기업 CIO, 전자상거래관리사, 인터넷정보검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할 수 있다”고 소개한 뒤 “앞으로 전자정부학과의 자리매김과 디지털시대에 맞는 통일론 개발에 심혈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