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요 전자업체들이 메모리 반도체의 주력인 D램 생산 체제를 재편한다.
‘일본경제신문’은 PC용의 수요 부진에 따른 급속한 시황 악화로 D램 사업의 적자 폭이 확대됨에 따라 NEC·도시바·미쓰비시전기 등이 채산성 확보가 어려운 64M 등의 생산 비중을 줄이고 256M 등 고부가 제품 생산을 강화하고 있다고 8일 보도했다.
NEC는 3월 말 현재 월 생산 규모가 180만개인 64M 제품의 생산을 단계적으로 줄여 나가 내년 3월 말에는 완전히 손을 뗄 계획이다. 또 128M 제품의 생산량도 30% 줄이면서 D램 생산 설비를 256M 등 대용량의 차세대 제품 중심으로 집중해 나갈 방침이다.
64M 제품 환산으로 월 2500만개의 D램을 생산하고 있는 도시바는 현재 전체 생산의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대만 화방(華邦)전자에 대한 위탁 생산 비율을 3년 동안 꾸준히 늘려 50%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PC에 사용하는 범용 D램의 생산 비율도 현재의 50%에서 3년 후 5% 이하로 줄이는 대신 고성능 서버용 D램 생산을 강화할 계획이다.
미쓰비시전기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더딘 64M 제품을 감산, 내년 3월 말까지 D램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금의 50%에서 10% 정도로 대폭 줄일 방침이다.
한편 D램 가격은 최근 급격히 떨어져 주력인 128M 제품의 경우 현물(스폿) 시장에서 1개월 전의 약 60% 수준인 2.5달러 안팎에 거래되고 있다. 반도체 제조업체와 컴퓨터 업체간의 거래 가격도 크게 떨어지고 있는데 NEC와 히타치제작소의 합작사인 엘피다메모리나 미쓰비시전기 등은 컴팩·델컴퓨터 등과 가진 6월 상반기 출하분 가격 교섭에서 128M의 경우 5월 하순 출하분보다 약 20% 낮은 개당 3달러대 후반에서 합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신기성기자 ks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