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박호군)은 세계적으로 개념정립 단계에 있는 미래 국가 주력분야에서 세계 최일류 기술확보를 위해 ‘KIST비전21 연구사업’을 기획, 1단계로 내년부터 3년간 570억원 가량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KIST가 내년부터 추진하는 연구사업분야는 △스핀제어를 통한 신개념 전자소자 개발연구 △차세대 광컴퓨터 개발 △케모인포메틱스(chemoinformatics) 등 3개 분야로 국가수요가 크고 기술 수요 주체가 명확한 과제에 집중하게 된다.
스핀제어를 통한 신개념 전자소자 개발연구의 경우 1단계인 내년부터 2004년까지는 단위 전하 및 스핀제어 원천기술을 개발하는데 1차연도 54억원, 2차연도 65억원, 3차연도 86억원 등 총 205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또 차세대 광컴퓨터 연구사업은 광자기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배선, 패킷기술 등 슈퍼컴퓨터급 광자PC기술 개발을 목표로 삼고 1차연도 51억원, 2차연도 61억원, 3차연도 82억원 등 총 194억원의 예산을 책정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생명과학, 화학합성, IT, 고분자 소재공학 등 다학제적 기술융합을 도모하는 케모인포메틱스 연구에는 1차연도 45억원, 2차연도 54억원, 3차연도 72억원 등 총 171억원을 투입, 미래 고부가가치 신의약 개발의 토대를 마련할 방침이다.
KIST는 3대 연구사업을 대외개방형 R&D체제로 추진, 연구비의 60∼70%는 산학연과의 연계를 통해 마련할 방침이다. 또 25∼30명의 해외 고급 과학두뇌를 유치하고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권상희기자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