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지불 산업기술개발 8월 착수

 전자지불·생체인식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유망 분야로 선정, 중점 지원하는 전략이 수립됐다.

 정보통신부는 국제 경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있는 가능성을 가진 유망 분야가 전자지불·생체인식 분야라고 판단, 이를 전략적으로 발굴해 중점 지원키로 했다고 28일 밝혔다.

 정통부는 이 분야의 기술이 개발될 경우 국내 정보보호업체들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함은 물론 국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 정부 차원에서의 대대적인 지원 전략을 마련할 방침이다.

 정통부는 우선 네트워크·IC카드 기반의 전자화폐, 기업간(B2B)·기업대 소비자(B2C) 전자지불수단, 교통카드 등 전자지불 관련 유망기술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이를 통해 전자상거래의 안전성·신뢰성 제고를 위한 산업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정통부는 이에 앞서 산학연을 대상으로 하는 수요 조사에 나서 지원과제를 선정한 뒤 업계를 대상으로 지정공모할 방침이다.

 정통부는 선정된 과제에 대해 기업과 정부간 매칭펀드 형태로 과제당 연구개발 소요비용의 50%를 출연금 형태로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가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은 최고 5억원이다.

 정통부는 우선 이달 중으로 수행과제 제안서를 확정한 후 7월 중으로 수행기관을 공모, 선정키로 했다. 선정된 과제는 8월부터 기술 개발에 들어간다.

 정통부는 개발된 기술에 대한 사용권을 기업에 줘 향후 전자지불·생체인식 분야에 대한 제품 개발, 기술 수출을 독려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자금난을 겪고 있는 생체인식·전자지불 기술을 연구하는 벤처기업들의 자금난이 크게 개선될 예정이다. 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정부출연연구기관·대학 등에서 개발 중인 생체인식을 이용한 전자지불 기술들이 상품화 과정을 밟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