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인터넷(IPv6)>정부 정책

정부의 차세대 인터넷 정책은 크게 인터넷의 새로운 주소 체계로 주목받고 있는 IPv6를 도입하기 위한 ‘차세대 인터넷 기반 구축 계획’과 이를 기반한 인터넷 이용 체계인 ‘그리드 프로젝트’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차세대 인터넷 기반 구축를 위해 정부는 오는 2003년까지 정부 예산 468억원, 민간 투자분 368억원 등 모두 836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이를 통해 IPv6를 활용한 IMT2000 단말기, 정보가전 기기는 물론 라우터 등 초고속 인터넷 장비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정보통신부는 특히 효과적인 IPv6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기존 정부의 전략 프로젝트인 △초고속망 고도화계획 △인터넷 정보가전 산업육성 계획 △광인터넷 기술개발 계획과 연계, 유기적인 협조 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정부의 계획 안에 따르면 현 IPv4 기반의 인터넷망을 단계적으로 IPv6망으로 진화하기 위해 실험망 수준의 IPv6망 구축과 인식 확산을 1단계 사업으로 상정, 올해 안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2단계(2002∼2005년)는 연구망과 국가망 인터넷 등 비영리망에서 우선적으로 IPv6를 도입하고 IMT2000 및 상업용 망에서의 IPv6 도입 유도, 기존 망의 변환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이어 IPv6망끼리 연동 체계가 구축되는 3단계(2006∼2010년) 사업을 거쳐 오는 2011년부터 IPv6망 구축과 해외 IPv6망과의 연동체계를 유지하는 4단계 사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IPv6도입과 함께 정부가 야심적으로 추진하는 차세대 인터넷 사업이 바로 ‘그리드(GRID)’ 프로젝트다. 그리드는 정보기술(IT), 생명공학 기술(BT), 나노 기술(NT), 환경 기술(ET) 등 기초과학과 산업기술 연구개발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반 인프라다. 정부는 여기에 2002년부터 5년 동안 435억원을 집중 투자키로 했다.

 그리드는 하이퍼 텍스트 형태의 단일 자원만을 이용하는 월드와이드웹(www)과 달리 국내에 분산된 고성능 컴퓨터, 대용량 데이터베이스와 첨단장비 등 정보통신 자원을 네트워크로 연동해 기초과학과 산업기술 연구에 필수적인 고속 연산, 대량 데이터 처리, 첨단 장비 등을 공유하는 신기술이다.

 정부는 그리드의 핵심 분야인 미들웨어와 브라우징 기술 개발에 적극 나서 기존 월드와이드웹과 다른 새로운 차원의 인터넷 이용 개념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또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사업 추진의 신뢰성을 확보하며 사업 추진 비용에 있어서도 수익자 부담 원칙을 고수키로 했다.

 특히 산업체의 첨단 기술개발과 접목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위주로 과제를 발굴해 실제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나간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관계 부처와 협조 체계를 구축해 분산연구 작업의 체계적 협업을 모색키로 했다.

 정부는 일련의 차세대 인터넷 프로젝트를 차질없이 진행하고 인터넷 신산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면 21세기 5대 지식 정보 강국으로의 진입도 바라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 상당한 비중을 두고 그리드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자동차·선박·건설 등 기존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핵심 기술개발 능력을 겸비해 세계시장에서 전통산업의 수출역량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지난해 가상공간의 공동연구를 통해 해석·설계·제조 과정을 통합해 연간 20억달러 이상의 비용을 절감했으며 이런 시스템을 국내에 적용할 때 연간 2000억원 규모의 비용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정부는 분석했다.

 정부는 국외 선진사례를 조사, 분석해 국내연구와 상용 기간망을 통합하는 그리드 네트워크 구성과 운영센터(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를 구축하고 △국가 그리드의 핵심 기술인 그리드 미들웨어 연구개발과 멀티미디어 3차원 브라우징 기술 개발을 2005년 상용화 목표로 중점적으로 지원하며 △산업체의 첨단 기술개발

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차세대 그리드 응용프로젝트를 발굴 추진키로 했다.

이의 일환으로 정부는 지난 6월 ‘그리드포럼 코리아’ 구성을 위한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으며 포럼을 늦어도 오는 9월까지 설립키로 했다. 그리드포럼은 그리드 활성화를 위한 산·학·연 전문가 정책그룹으로 국제 그리드포럼(GGF)의 국내 카운터파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드포럼은 산업체에서는 인터넷 장비업체·컴퓨터 제조업체·응용 소프트웨어업체·신약/바이오 벤처가, 학계에서는 정보통신·전산학·생물학·신약·기계와 관련한 대학이 참여한다. 포럼은 그리드 네트워크 구축과 연동을 위한 인프라 분과, 바이오·유체 역학 등 응용과제 발굴을 위한 응용 분과,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를 위한 국제 협력 분과 등 분과위원회 위주로 사업을 벌이게 된다.

 이 같이 정부의 차세대 인터넷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지금의 인터넷이 연구개발 목적으로 사용되다가 정보사회의 핵심분야로 대두된 것과 같이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경제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강병준기자 bjk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