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기술창업지원단의 창업보육센터 입주 벤처 선정 과정이 허술해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일부 심사위원들 사이에서는 이같은 허술한 선정절차가 자칫 ‘유령벤처’나 ‘부실벤처’를 양산할 가능성마저 상존해 있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3일 KAIST 신기단에 따르면 입주벤처의 경우 업체들로부터 받은 제출서류를 바탕으로 6, 7명으로 구성된 전문심사위원단의 심사를 거쳐 최종 선발한다.
그러나 이같은 선정과정은 다른 벤처집적시설에서 거치는 벤처선정과정과 확연히 차이가 난다.
대전소프트웨어지원센터는 서류심사를 거쳐 1차적으로 업체를 선별한 후 2차 면접심사에서 80점 이상이 넘는 업체들만 최종선정하고 있다.
하지만 KAIST 신기단은 자체적인 서류심사절차없이 단 1회의 평가만으로 선정, 업체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업체별로 할당된 20여분간의 자사소개로 사실상 입주업체의 당락이 결정되는 셈이다.
지난 5월말 실시된 입주벤처선정과정도 예외는 아니다.
심사에 참여했던 일부 심사위원들 사이에서는 1차적인 서류심사도 거치지 않은 업체를 대상으로 짧은 시간안에 선정 유무를 결정해야 했다며 불만섞인 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처럼 벤처선정과정이 허술하다 보니 KAIST 창업보육센터에는 입주후 명패만 내건 ‘유령벤처’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과기부나 KAIST에서 지원하는 각종 벤처창업지원금이나 기술지원금을 타낼 목적으로 이름만 내걸었을 뿐 정작 사무실은 텅 비어 있는 셈이다. KAIST 신기단은 지난해부터 유령벤처를 가려내기 위해 현재까지 10여개의 벤처를 퇴출시켰다.
지난달부터 창업보육센터 입주운영규정을 개정, 최대 입주기간을 5년에서 3년으로 줄이고 1년마다 실적을 재평가해 사업실적이 없는 회사는 과감히 퇴출시킨다는 방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KAIST 창업보육센터에는 유령벤처 이야기가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근본적으로 이같은 유령벤처 양산을 막기 위해서라도 벤처입주선정절차가 보다 엄격하고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해 KAIST 신기단 관계자는 “심사절차를 강화해야 한다는 데 동감한다”며 “최근 신기단의 조직이 새롭게 정비된 만큼 우선적으로 개선해 나갈 사안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대전=신선미기자 smshi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