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IT지수 분류체계 확정

 코스닥증권시장에서 업종 구분이 명확하지 않았던 정보기술(IT) 기업들이 3개의 대분류와 10개의 중분류 체계로 나뉘어진다.

 코스닥증권시장은 10일 정보통신부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코스닥 IT지수의 분류체계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코스닥IT지수 분류체계는 △통신방송서비스(통신서비스, 방송서비스) △IT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인터넷, 소프트웨어, 컴퓨터서비스, 디지털콘텐츠) △IT 하드웨어(통신장비, 정보기기, 반도체, 부품) 등으로 3대 대분류 아래 10개 중분류로 골격을 이루고 있다.

 IT기업의 선정기준은 코스닥 등록기업의 업종별 매출액 가운데 IT업종과 관련된 매출액 비중이 최대이면서 해당기업 전체 매출액의 30% 이상인 기업으로 정했다.

 이번에 확정된 코스닥IT지수 분류체계와 선정기준을 적용할 경우 6월말 현재 IT산업에 속하는 등록기업은 237개사로 전체 592개사(증권투자회사 제외)의 40% 수준이며 시가총액은 26조8000억원으로 코스닥시장 전체(43조7000억원)의 6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류별 시가총액 비중은 통신방송서비스가 42.3%(16개사)로 가장 높고 IT 하드웨어가 31.6%(151개사), IT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가 25.9%(70개사) 등이다.

 오는 10월부터 발표 예정인 코스닥IT지수는 △코스닥 IT 종합(코스닥시장의 전체 IT기업을 대상으로 산출) △코스닥 IT 대표지수(대표적인 IT기업을 대상으로 산출) △코스닥 IT 벤처(IT기업 중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산출) △코스닥 IT 업종지수(코스닥 IT기업을 업종별로 분류해 산출) 등이다.

 코스닥시장 관계자는 “코스닥IT지수는 코스닥시장 참여자들의 투자판단지표, 기관투자자의 벤치마크지표, IT산업 관련 정책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 등으로 활용될 것”이라며 “IT산업을 규정함에 있어 정보통신부의 분류체계를 근간으로 하되 인터넷, 디지털콘텐츠 등 새로운 사업영역을 추가적으로 포함시킴으로써 IT산업을 폭넓게 수용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조장은기자 jech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