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업계의 통합 작업이 급류를 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방송법상 대기업 및 외국자본의 출자 제한 규정이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복수케이블TV방송국(MSO)·프로그램공급업자(MPP)들이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해 관련 사업자의 인수를 적극 검토 중이나 방송법의 출자 제한에 묶여 이를 진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부 업체들은 외자 도입 등을 통해 사업 확대를 모색하고 있으나 이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심화된 국내 경기 침체로 인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이는 현행 방송법상 30대 대기업 집단 및 외국자본은 SO·PP·위성방송 사업에 33% 이상을 초과해 투자할 수 없게 돼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지난해부터 매물로 나와있는 30여개의 SO와 PP에 대한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자금력이 충분한 대기업의 출자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동안 대기업의 시장 독점 등을 우려해 출자 제한 규정이 설득력을 얻었으나 이제는 시장 상황이 변하고 있다”며 “디지털화 및 경쟁 사업자와의 대응을 위해서라도 SO에 대한 투자의 폭은 단계적으로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제일제당이 30대 기업집단에 포함되면서 초과지분 매각에 나섰던 양천케이블TV(대표 조재구)는 2차 매각 연장 시한이 9월로 다가오고 있으나 인수 적임자가 나타나지 않아 노심초사하고 있다.
제일제당 관계자는 “최근 시장 통합이 급진전되면서 3차 SO 중에서도 인수를 제안하는 업체가 나오고 있지만 법 규정상 초과된 지분을 매각하기에도 바쁘다”며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출자 제한 완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지난해 케이블 업계 최대 매물이었던 대호 계열 7개 SO는 인수를 추진해온 온미디어측이 외국 캐피털 업체로부터의 외자 유치에 실패하면서 일부 지분만을 LG홈쇼핑 등에 넘긴 상태이다.
씨앤앰커뮤니케이션(대표 오광성)도 군인공제회가 소유한 마포 지역 중계유선 및 마포SO의 일부 지분 매입을 진행해왔으나 추가 자금 확보가 어려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유경기자 yukyu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