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가 연구단지 시설관리 위주에서 벗어나 연구단지내 출연연 및 벤처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종합지원기관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특히 중앙부처의 퇴직공무원 위주인 관리본부의 인력구성도 관련 지방자치단체의 파견인력을 받아 과기부-연구단지-지자체를 연계하는 대덕밸리 중추기관으로 육성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대덕연구단지기관장협의회는 최근 대만 신죽과학산업단지, 일본 쓰쿠바연구학원도시 등 해외 연구단지 실태 조사를 토대로 연구분석한 ‘해외 연구단지 보고서’를 통해 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가 연구단지를 찾는 방문객 견학 관리, 연구원들을 위한 골프장 운영 및 수영장 위탁관리, 체육공원관리 등 부대시설 관리에서 벗어나 단지내 입주기관들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 및 컨설팅 기능을 갖는 기관으로 역할과 기능이 조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만의 신죽과학산업단지는 신죽단지관리국 200여명의 중앙정부 공무원이 단지의 발전계획 수립부터 기업지원, 상하수도, 노무, 토지관리, 세관, 환경, 안전문제에 이르기까지 실질적인 단지관련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신죽단지는 특히 신죽과학공원내 입주기업 291개 가운데 단지내 연구기관으로부터 스핀오프된 기업이 52개에 불과한 반면 해외자국민 유치기업이 113개로 전체의 4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쓰쿠바연구학원도시는 정부 차원의 도시기반정비공단이 쓰쿠바지사를 설치하고 100여명의 인력으로 도시전체를 관리하고 있다.
이곳에는 공동이용시설로 연구교류센터, 국제회의장, 인포메이션센터 등을 두고 있으며 이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와 비슷한 인포메이션센터에서 비즈니스와 문화생활 등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단지관리의 책임과 권한이 여러 중앙부처와 지자체에 산재되어 일관성있는 정책추진이 어려운 단점을 안고 있다.
이에반해 대덕연구단지는 그동안 관리주체이던 과기부 산하 구대덕단지관리소가 폐지되면서 실질적인 정책결정이 과기부로 이관된데다 단지 홍보 등 일부 업무에 국한돼 종합적인 기획력과 행정력을 발휘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더욱이 출연연들의 소속이 연합회로 바뀌면서 주무부처가 국무조정실로 이관돼 일관성있는 정책 추진이 어렵고, 산자부·정통부·중기청·대전시 등 관련 정부조직들이 기술개발·벤처지원 업무를 대부분 독자적으로 입안·추진하고 있어 단지내 출연연들의 업무 중복과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따라 대덕연구단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발전계획을 수립, 추진하기 위해서는 과기부 연구단지 관련 부서의 기능을 대덕연구단지관리본부로 대폭 이양하고 대만의 신죽과학공원 단지관리국과 같이 정부차원의 단일화된 행정적·법적 기반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함께 일본의 관서문화학술연구도시 추진기구처럼 관련기관의 공무원이 파견돼 과기부·건교부 등의 정책결정을 뒷받침할 수 있는 주재관제도를 신설,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서비스체제를 종합적으로 관장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연구단지의 산업화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단지내 입주기간으로부터의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보다는 해외교포기업 등 외국 첨단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방안마련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출연연의 고위관계자는 “대전시가 연구단지와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력부터 파견해야 할 것”이라며 “연구단지 및 벤처 활성화 정책을 일관성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능도 새로 설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범기자 hb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