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신기술 상용화 막는다"

 연초부터 시작된 통신사업자의 내핍경영이 국내 IT산업 전반에 걸친 침체의 핵심요인으로 부상한 가운데 국가 정보통신산업의 미래를 걸머질 신기술 상용화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 정부 및 업계 전반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국내 경기침체는 세계적인 IT불황과 맞물리면서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어서 국내 통신시장 내수 경기 활성화는 물론이고 신규전략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정부 차원의 통신사업자 신기술투자 및 보조금 마케팅 대책이 시급히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유무선을 막론하고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사업포트폴리오가 한계성장치에 다다다랐음에도 불구하고 통신사업자들은 향후 전략사업부문 육성을 위해 반드시 조기 집행해야 할 신기술을 중심으로 한 미래 투자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IT 신기술은 통신사업자들의 전략적 투자와 사업자 마케팅이 이뤄지지 않는 한 상용화가 더딜 수밖에 없고 이 경우 국내 IT산업은 내수시장에서의 선기술력 확보는 물론이고 규모의 경제달성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어 국내 IT산업의 세계화에까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같은 신기술로는 ADSL의 뒤를 이을 것으로 예측됐던 VDSL, FTTC 등 광통신, 음성데이터통합(VoIP) 기반의 인터넷텔레포니, 블루투스, 무선랜, 무선인터넷을 비롯한 IMT2000, 디지털콘텐츠, 인터넷정보가전 등이다.

 이들 신기술들은 현재 국내 벤처들이 대부분 기술개발을 완료했거나 개발을 추 진중이나 투자 주체이자 소비자 마케팅의 주역인 통신사업자의 보수적 경영에 따라 크게 위축되고 있는 상태다.

 또한 신기술은 국내는 물론이고 세계 IT산업의 1∼3년 후를 선도할 기술들로 예측되고 있으며 올해 초까지만 해도 상용화가 급진전되는 듯하다가 최근 통신사업자들의 긴축경영에 따라 대중화에 차질을 빚고 있다.

 통신서비스사업자들의 이같은 보수적 경영에 대해 통신장비업체들과 벤처기업 등은 cdma2000 1x망 확대, 블루투스 등 신규서비스 보급을 위한 사업자들의 역할 확대 등을 강력 요구하고 있다.

 업계는 이와 함께 지난해 중반부터 이뤄져왔던 정부의 통신사업자 규제 중심 정책을 이제 수요촉진을 위한 경기활성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장비업계와 벤처기업들은 특히 지난해 7월부터 이뤄진 이동전화단말기 보조금 철폐가 사업자들의 공급자 마케팅을 사실상 봉쇄했고 이것이 IT산업의 경기위축을 부추겼다고 전제하며 정부는 이동전화시장은 물론이고 통신시장 전체에 걸쳐 서비스사업자 중심의 수요창출작업에 대한 전략적 고려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신기술의 경우 대부분이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개발이 완료됐으나 벤처기업의 마케팅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며 “지난 98∼2000년 상반기에 피크를 이뤘던 이동전화단말기 보조금 정도는 아닐지라도 선수요 창출을 위한 통신사업자의 보조금 마케팅은 어느 정도 요구된다”고 설명했다.

 <조시룡기자 srcho@etnews.co.kr 김상룡기자 sr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