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제조업종은 임금인상이 생산성 증가를 초과한 반면 IT분야 제조업종은 생산성 증가가 임금인상 수준을 앞지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IT분야가 생산성 증가와 더불어 고용시장을 견인해 왔다는 것은 반증한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92∼99년 업종별 노동생산성 및 단위노동비용 변화추이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IT분야 제조업종은 8년간 30%가 넘는 기록적인 노동생산성 향상을 기록하면서 생산성 증가가 임금상승을 앞질러 단위노동비용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전통제조업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5% 미만에 그쳐 단위노동비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노동비용은 1인당 노동비용 증가율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뺀 것이다. 단위노동비용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 노동생산성 증가 범위에서 노동비용이 상승한 것을, 단위노동비용이 플러스를 기록하면 노동비용 상승이 노동생산성 증가를 초과한 것을 의미한다.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 140개 업종(한국표준산업분류 세분류 업종) 가운데 65.7%인 92개 업종에서 임금상승이 생산성 증가를 초과해 전반적인 산업경쟁력은 약화됐다는 분석이다.
IT 제조업종은 지난 8년간 단위노동비용 경쟁력이 크게 개선돼 컴퓨터 및 주변기기 12.2%, 전자관 및 기타 전자부품 10.6%,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가 11.9% 증가했다.
전통제조업종은 코크스 및 관련제품이 30.8%, 비철금속 제1·2차 제련 및 정련이 16.2%, 철도장비가 14.8% 등으로 비용경쟁력이 약화돼 대조를 보였다.
한편 지난 8년간 제조업 140개 업종 중 62.1%인 87개 업종이 10% 미만의 한자릿수 생산성 증가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업종별로 컴퓨터 및 주변기기(32.6%), 통신기기 및 방송장비(31.3%) 등 4개 업종은 지난 8년간 매년 30%를 초과하는 기록적인 노동생산성 증가를 나타냈으며 비철금속 제1·2차 제련·정련, 전자관 및 기타 전자부품 등도 20%를 초과하는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기록했다.
<심규호기자 khs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