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교육 어디까지 왔나>(4)리눅스 자격증

 교육이 활성화되려면 동기부여가 있어야 한다. 고등학생들은 대학에 가기 위해 책을 들여다보며 졸린 눈을 비비고, 승진을 앞둔 직장인은 영어학원을 다니기 위해 없는 시간을 쪼갠다. 마찬가지로 리눅스 교육이 활성화되려면 사람들에게 동기부여가 주어져야 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자격증이다.

 자격증이 신뢰도를 얻으면 리눅스 엔지니어가 되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자신의 능력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이다. 취업에 도움을 주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문제는 리눅스 자격증을 둘러싸고 국내 리눅스 업체들이 양분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달 초 5개 국내 리눅스 업체는 노동부에 ‘국가기술자격종목 신설 의견서’를 제출했다. 이 의견서의 내용은 리눅스를 국가 공인자격증으로 인정하기 위한 공인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초급, 중급, 고급 등 3개 과정의 리눅스 관리사를 신설하자는 것이다.

 노동부는 이 의견서의 의견을 검토한 후 자격지원과를 중심으로 리눅스 국가공인자격증 도입을 준비했고 정통부에 협조 공문을 보냈다.

 이에 대해 정통부는 노동부의 협조 공문을 반려했다. 이유는 자체적으로 리눅스 자격증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 정통부는 리눅스협의회와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를 통해 리눅스 자격증인 리눅스마스터 시험을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문제는 누가 주관부서가 되느냐를 둘러싸고 리눅스 업체들이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노동부에 의견서를 제출한 업체의 입장은 “자격증 취득자에게 더 많은 취업기회를 주기 위해서는 노동부가 주무부서로 돼야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며 “정통부를 주무 부서로 주장하는 것은 민간자격증 도입에 필요한 학원이나 교재 등에 주는 인증사업에 보다 관심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고 의혹의 눈길을 보낸다.

 반대로 정통부를 주관부서로 해야 한다는 입장은 “이미 리눅스협의회와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가 지난해 말부터 리눅스 자격증 도입에 필요한 방법과 내용 등을 준비해왔으며 노동부가 다시 형식과 내용을 만들려면 중복 투자를 감수해야 한다”며 “민간 자격도 1년 이상이나 3회 이상 실시되면 국가공인 자격시험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반박했다.

 리눅스협의회는 최근 운영위원회를 열어 계획대로 10월에 토종 리눅스 자격시

험을 치른다고 재확인했다.

 리눅스마스터라는 이름으로 시행되는 이 자격시험은 지난 해 10월부터 산학연 리눅스 전문가로 전담반을 구성해 개발해 왔으며 우선 초급과정에 해당하는 2급 자격을 시행한다. 이 시험은 오는 10월 15일부터 5일간 접수를 받아 29일부터 4일간 1차 시험, 11월 25일 2차 시험을 시행해 12월 8일 합격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중급 과정인 1급 자격과 고급 과정인 전문가 자격은 내년에 시행할 방침이며 2급 자격은 2003년, 1급 및 전문가 자격은 2005년 국가공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자격기획팀 장기영 팀장은 “리눅스마스터는 시험이 한글로 출제되며 응시료도 외국계 자격 시험의 3분의 1에 불과해 리눅스 인력의 대중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눅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누구 주도로 자격증이 만들어지는 것보다는 얼마나 리눅스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가라는 대승적 관점이 필요하다”며 “하루빨리 리눅스 업계의 의견이 하나로 모아져야 어렵게 시작된 리눅스 자격증이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동준기자 dj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