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의 전전자교환기 고도화 작업이 본격 시작됐다.
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통신망 진화를 위한 차세대 교환기 도입여부를 둘러싸고 내부의견이 엇갈리면서 TDX계열 교환기 고도화 작업에 차질을 빚어온 한국통신이 최근 올들어 처음으로 북포항전화국에서 총 4만회선(TDX-1B 3만2000회선, TDX-10A 8000회선) 규모의 구형 교환기에 대해 TDX 고도화 작업을 완료하는 등 전전자교환기 고도화 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TDX 고도화 작업은 한국통신이 운용중인 TDX계열 교환기(1A, 1B, 10, 10A)를 대용량 교환기인 TDX-100으로 통합하는 것으로 머큐리는 지난해 하반기 진행된 시범사업기간 동안 상용제품을 충북사업본부내 서청주 및 증평전화국에 총 7만회선 규모를 공급했다.
한국통신의 교환기 고도화 사업이 진행되면 기존 반전자교환기(NO.1A, M10CN 등) 및 소용량(1A/1B) 교환기 등은 20만회선 규모의 대용량으로 업그레이드되며 전국 교환 운용국사 TDX 시스템의 통합관리 체제가 구축된다.
또 번호이동성 서비스 및 콜러ID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없는 지역을 해소함으로써 가입자의 통화품질을 대폭 향상시켜 전화가입자 민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한국통신의 차세대통신망(NGN) 구축시 기대효과는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통신은 북포항전화국 교환기의 고도화에 이어 현재 총 7만회선 규모에 이르는 북전주전화국의 TDX-10A/1B 고도화 작업을 진행중으로 오는 10월말까지 작업을 마무리지을 예정이다. 또 올 연말까지 천안전화국 교환기의 10만회선 물량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로써 한국통신의 TDX계열 고도화 작업물량은 올해 말까지 총 30여만회선에 이를 전망이다.
한편 한국통신의 한 관계자는 “차세대 교환기 도입여부를 둘러싼 내부논의와는 별도로 우선 필요에 따라 교환기 고도화 사업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하고 “하지만 내년도 전체 투자계획이 아직 수립되지 않은 상태여서 내년도 교환기 고도화 작업 예산 및 물량규모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성욱기자 sw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