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부가 재소자·소년원생·보호관찰대상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정보화 교육이 정보격차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법무부의 정보화 교육은 크게 교정시설 정보화 교육, 소년원 정보화 교육, 보호관찰소의 정보화 교육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교육은 재소자나 소년원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지역주민이나 주부 등 일반인들에게도 상당부분 개방돼 있다. 따라서 재소자나 젊은 시절 한때의 탈선으로 소년원에 들어가 있는 청소년들은 물론 일반인들의 정보화 소양 능력 제고에도 이바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법무부의 재소자 및 소년원 대상의 정보화 계획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돼 내년까지 3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우선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정보화 교육은 보호관찰소 부설 전산정보교육센터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다. 현재 서울·수원·청주보호관찰소내에 전산정보교육센터와 인터넷플라자가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올 10월중에 광주·전주보호관찰소내에 전산정보교육센터가 개관될 예정이다. 법무부는 보호관찰대상자에 대한 정보화 교육을 통해 자신감을 고취, 사회 적응력을 높이고 재범률을 억제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보호관찰소의 정보화교육 분야는 주로 문서편집, 인터넷 운영, 홈페이지 제작, 통계표 작성 등이다.
지난해의 경우 총 4001명의 보호관찰대상자들이 컴퓨터 교육을 받았으며 올해는 모두 7892명이 교육을 받을 예정이다. 보호관찰소 정보화 교육에는 지난해와 올해 모두 1만6170명의 일반인들도 참여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과 보호관찰대상자 등 총 2만863명의 인원이 전산정보교육센터의 정보화 교육을 받아 디지털 정보시대의 사회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소년원의 정보화 교육도 법무부가 정보화 격차 해소를 위해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사업 중 하나다. 법무부는 지난 99년부터 전국 소년원의 교육훈련시설을 통폐합, 실용영어 및 컴퓨터 중심의 특성화 학교 체제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해 8월부터 9월 사이에 서울 등 전국 12개 소년원이 정보통신중·고등학교로 개편됐으며 이들 학교는 멀티미디어 어학실·종합정보처리교육센터·인터넷영어교육 전용 사이트 등 사이버 교육시스템을 갖췄다.
특히 이들 소년원은 MS·삼성SDS 등의 IT업체와 제휴해 장비와 교육을 지원받는 등 정보화 교육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해가고 있다. 특히 전국 소년원들은 ‘지역주민 정보화 교육과정’을 개설, 소년원 교사와 학생들이 강사가 되어 주부·산업체근로자·장애인에 대한 정보화 교육도 실시해 호평받고 있다. 소년원생들에 대한 정보화 교육은 주로 경영정보,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컴퓨터 그래픽, 컴퓨터산업 디자인, 전산응용건축제도 등의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총 2917명의 소년원생들이 정보화 교육을 받았는데 이 가운데 552명이 각종 자격증을 획득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수형자 정보화 교육도 효과를 거두고 있다. 일례로 강간치상죄로 5년형을 선고받아 복역중이던 L모씨(39)는 지난해 1월부터 6개월간 재소자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정보기기운용기능사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자격증을 취득했는데 작년 8월 가석방으로 풀려난 후 소방기구제조회사에 취업, 위험물 구조설계를 컴퓨터로 처리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같은 사례는 재소자 대상 정보화 교육이 범법자의 재범률을 크게 낮추고 사회 적응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지난해말 현재 수형자 정보화 교육으로 정보기기운용사 등의 자격증을 획득한 인원이 824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는데 법무부는 올해 3만6753명의 재소자들을 대상으로 정보화 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이처럼 재소자나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정보화 교육이 실효를 거두고 있으나 아직도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적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특히 소년원생이나 재소자들에 대한 사회적인 편견이 심해 정보화 교육을 받고도 퇴원 또는 출소후에 직장에 취직하지 못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다.
교육시설, 전문 강사, 교육과정 등도 개선해야 할 점이 많다. 특히 IT분야는 기술적인 진보가 다른 어떤 분야보다 빠르기 때문에 교육시설이나 강사들의 수급이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정부 예산의 부족으로 완벽한 시설이나 강사를 구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민간의 기부 활동이나 사회봉사 활동등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장길수기자 ksj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