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테러 대참사>향후 남북 IT 교류 전망

 미국 워싱턴과 뉴욕에서 발생한 연쇄 테러가 앞으로 남북 정보기술(IT) 교류협력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 대북 전문가들은 이번 테러사건이 물꼬가 트인 IT분야 남북 교류협력의 큰 흐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물론 이번 사건으로 북·미 관계 개선이 늦춰지면서 남북 관계에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겠지만 남북 IT교류협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삼성경제연구소의 김연철 북한연구팀 수석연구원은 “이번 테러가 남북 경협과 IT 교류협력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남북 IT교류는 오히려 미국의 대북 경제 제재, 북한의 태도변화와 같은 기존 현안과 맞물려 진행될 것이기 때문에 이번 테러사건으로 교류속도가 늦춰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북한 평양정보쎈터와 공동연구개발을 진행중인 포항공대의 박찬모 대학원장(통일IT포럼 회장)은 “이번 테러사건이 남북 IT교류협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여러 경로를 통해 국내 및 미국의 전문가들과 접촉해본 결과, 이번 사건이 남북 IT교류협력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평양 근교에 남북 IT협력산업단지 조성을 추진중인 엔트랙의 임완근 사장도 “외부의 정치적 돌발사태과 상관없이 남북 IT교류와 같은 경제 협력은 꾸준히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런 가운데 남북 IT교류협력에 미칠 파장과 관련해서 이번 테러발생 이후 북한의 반응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북한의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이 13일 제5차 남북 장관급회담(9.15∼18)을 앞두고 이례적으로 ‘좋은 합의’를 기대한다는 내용의 담화를 발표한 것도 일단은 남북 교류협력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북측이 회담에 앞서 이같은 입장을 밝힌 것은 우여곡절을 거쳐 마련된 남북간의 화해·협력 국면이 미국의 테러사태 파장으로 인해 후퇴하는 것을 막고 남한정부의 대북 화해·협력 정책이 지속되기를 바라는 기대가 반영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우세하다.

 특히 북한이 지난해 미국과 함께 테러행위를 반대한다는 공동성명을 발표한 이후, 지난 12일 이례적으로 미국에서 발생한 동시다발 테러를 비난한 것도 북미 관계의 악화를 막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는 북한이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돼 있는 만큼 미국에서 발생한 테러 대참사가 북·미 관계는 물론 남북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판단아래 미국에 우호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편으로 해석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으로 미국내 강경파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이로 인해 남북 교류협력도 어떤 형태로든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

 서재진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이 테러국가로 지정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과 미국의 관계개선은 지연될 것이고 그렇게 되면 남북관계도 지연될 것”이라면서 “국제적인 전략물자 반출 제한협정인 바세나르협약에 제한을 받고 있는 북한이 IT산업을 활성화하는데는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