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대테러 보복을 다짐하면서 중동지역이 전운에 휩싸임에 따라 우리나라 정보기술(IT)의 수출도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당초 정부는 올해를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 중동지역의 IT 수출 원년으로 삼고 올해에만 15억달러 규모의 실적을 올린다는 목표를 수립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그동안 이동통신·가전 등의 대중동 수출에만 치중해 왔으나 올해부터는 시스템통합(SI)·소프트웨어 솔루션 등의 수출에도 적극적으로 나서 고부가 IT산업의 수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한다는 전략이었다.
실제로 정보통신부는 지난 4월 사우디아라비아를 중동지역 진출 거점국가로 정하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등에 정부차원의 IT 홍보사절단을 파견, 우리나라 IT산업 현황과 초고속통신망 구축 등 국가 정보화 추진현황을 소개하고 행정서비스 전산화 등 공공분야 SI 경험과 업체의 우수한 기술을 홍보한 바 있다. 더우기 정부는 이들 두 국가를 위시해 아랍에미리트·이란·모로코·리비아·이스라엘·레바논 등과의 IT 진출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전략을 수립한 바 있다.
그러나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을 테러지원국으로 지목, 보복을 다짐하고 있는 가운데 아프가니스탄 역시 결사항전 체제를 서두르고 있어 중동지역 수출전략이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두 국가가 전쟁으로 치닫게 되면 인근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이라크 등이 무관할 수 없고 또 그렇게 되면 이 지역에 발주될 것으로 예상되던 IT프로젝트 역시 지연되거나 유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사우디아라비아의 IT 수출의 경우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미국의 전통적인 맹방인데다 석유수출국으로서의 중요성 때문에 미국이 전쟁을 수행할 경우 전쟁기지국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밖에 없고 그렇게 되면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가계약을 체결한 경찰청교통관제시스템 이외의 교육망 구축 프로젝트나 사이버대학 구축 프로젝트 등의 프로젝트 수주전은 당분간 진행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집트가 현재 50억∼60억달러를 들여 추진하는 초고속기간통신망·전자정부·전자상거래시스템 구축 등의 프로젝트도 당분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란의 기간통신망 구축사업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모로코의 행정정보망 구축, 민원행정정보망 등의 프로젝트 수주전도 전쟁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아랍에미리트의 경우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아랍에미리트는 특히 아랍 최대의 정보산업단지인 ‘두바이인터넷시티(DIC)’를 건설, 첨단미디어 기업과 위성통신·인터넷방송사 등을 유치하는 한편 통신인프라 구축 등 정보화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나 이번 테러로 인한 전쟁이 벌어질 경우 당분간 사업자체가 지체되거나 신규사업은 아예 중단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리비아 역시 정보통신분야를 포함해 앞으로 5년간 50억달러를 투자해 정보화에 매진한다는 계획을 수립했으나 테러지원국 리스트에 올라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레바논과 이스라엘 등도 컴퓨터 및 부품과 보안솔루션 수출지역으로 부상하고 있으나 당분간 전쟁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해 사업 자체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중동지역은 현재 이동통신과 가전분야의 수출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면서도 “올해를 기점으로 중동지역 IT수출을 전략적으로 강화해나가려 했던 만큼 전쟁의 발발 가능성과 이로 인한 파장을 주도면밀하게 파악해 이후의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승정기자 sjpar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