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주요국간 이동통신시스템과 단말기 및 부품 등에 관한 민간차원의 상호투자 및 협력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아시아 이동통신산업 협력포럼’이 20일 중국 톈진에서 열렸다.
전자신문을 비롯한 한국·일본·대만의 전문매체와 업계 단체, 중국의 톈진시 공동 주최로 22일까지 3일간 열리는 이번 포럼은 아시아 국가들간 이동통신산업과 시장의 교류 활성화는 물론 CDMA·GSM·동기식·비동기식으로 혼재돼 있는 2·3세대 이동통신 방식에 관한 협력방안이 논의돼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 아시아 이동통신산업 협력포럼은 아시아태평양 이동통신산업 발전추세, 각국 이동통신 기술발전과 전망, 그리고 투자 및 산업현황 등에 대한 주제발표와 함께 상호투자지원시스템, 판매활동 방안 등 다양한 협력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이번 포럼을 주도하고 있는 4개국의 이동통신 방식은 전혀 다른 상황인데 CDMA 종주국을 자처하는 한국은 2세대로 CDMA를 100% 채택하고 있지만 3세대에서는 동기식과 비동기식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 또 일본은 2세대에서 KDDI를 중심으로 80% 정도가 CDMA를 채택하고 있으며 나머지 20%는 독자적인 방식과 유럽의 GSM이 이용되고 있다. 3세대에서는 KDDI가 동기식을 수용하는 등 동기식이 우세하지만 비동기식을 채택한 비중도 만만찮다.
중국은 2세대에서 유럽의 GSM방식이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10% 정도만 CDMA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대만은 2세대에서 100% GSM방식이다. 중국과 대만은 아직 3세대 방식은 결정되지 않은 상태다.
아시아 이동통신산업 협력포럼에는 중국 톈진시 인민정부 시장 등 책임자와 일본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JEITA) 회장, 전파신문 사장, 대만전자전기협회(TEEMA) 회장, 전자시보 사장, 그리고 한국전자산업진흥회 상근부회장 등 주최측 주요 인사들은 물론 해당국가 주요기업 사장과 임원, 모토로라 아시아 및 중국 대표 등 민간기업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각국 업계 단체와 전문매체들은 이번 첫 행사에 이어 정기적인 포럼을 갖기로 하고 차기 일정과 개최 주기 및 도시, 논의주제 등을 이번 행사기간중에 확정할 예정이다.
<유성호기자 shyu@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