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한인학생이 개발한 유전공학기술이 세계적 학술지에 게재된 데 이어 벤처창업으로까지 이어져 학계 및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일 생명공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최근호(10월 1일자)에 따르면 미국 테네시주 내슈빌 반더빌트 의대에 재학중인 조대웅씨(35)와 동료 연구진은 줄기세포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세포 안에 기능성 효소(active enzyme)를 자유롭게 넣을 수 있는 유전공학기술을 세계 처음으로 개발했다.
조씨 등이 개발한 세포투과성 게놈조작효소(cell-permeable DNA site-specific recombinase)는 게놈의 손상 없이 유전자 자체를 제거하거나 이미 유전자 조작을 통해 비활성화시킨 특정 유전자를 다시 활성화시켜 주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학자들이 특정 세포군 또는 조직, 그리고 원하는 개체 발생시점에서 유전자가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네이처는 전했다.
이 기술은 조씨와 그의 지도교수인 룰리 박사가 함께 특허권을 가지고 있으며 조씨는 현재 동료연구원들과 함께 트랜셀 제약이라는 바이오텍 회사를 설립중에 있다.
조씨와 룰리 박사는 올해 안에 1차로 한국과 미국에서 모두 15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 보유 특허기술 3건에 대한 임상실험과 세포투과성 게놈조작효소의 생산·판매를 추진, 5년 안에 5억달러 이상의 가치를 갖는 거대회사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온기홍기자 khohn@etnews.co.kr>